안행부, 지역별 안전관리 종합대책 추진

정부가 정부조직개편에 따른 안전관리체계 공백을 최소화하기 위해 선제적 대응에 나서기로 했다.
지난 25일 이성호 안전행정부 제2차관은 시·도 및 시·군·구 부단체장과 함께 영상회의를 개최했다. 이 자리에서 안행부는 국가안전처 출범 예정 등으로 국가 안전관리체계가 과도기적 시기에 접어든 것은 감안해 대형안전사고가 발생하지 않도록 시·도 지역별 안전관리 종합대책을 수립·추진하기로 했다. 아울러 이번 대책이 일회성에 그치지 않도록 주기적으로 점검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안전행정부가 밝힌 계획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먼저 각 시도에서는 지역 안전관리 종합대책을 마련해 장기간에 걸쳐 순차적으로 점검에 나선다는 방침이다. 이의 대표적인 예로 부산시는 오는 10월에 지난 1988~1992년 건립된 공동주택 329개 단지 1377동에 대해 특별점검을 실시키로 했다.
대구시는 지난 21일 제방이 유실된 괴연저수지 등 안전취약 저수지에 대해 안전점검을 진행할 예정이고, 울산시도 국가산업단지 52개 사업장에 대해 소방특별조사를 실시할 방침이다. 즉, 지역별 특성에 맞는 안전대책이 마련·운용되는 것이다.
이외에도 안행부는 AI, 구제역, 싱크홀 등 지역별로 빈번히 발생하는 특징적 재난에 대해 안전관리 대책을 추진할 계획이다. 이에 따라 서울시에서는 도로함몰 특별관리 종합대책을 수립하기로 했고, 경기도 역시 싱크홀에 대비한 과학적 포장관리 시스템(PMS)을 구축키로 했다.
◇안전관리 추진단 운영할 방침
정부는 각 시·도별로 지역안전관리 종합대책을 체계적으로 추진하기 위해 부단체장을 단장으로 하는 ‘안전관리 추진단’을 운영할 방침도 밝혔다.
시·도별 추진단은 안전행정국장 등 국장급을 간사로 과장급이 반장인 총괄기획반, 현장점검반, 상황관리반 등 3개 반으로 구성되며, 지역 안전관리 종합대책을 추진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안전행정부는 앞으로 시도별 안전관리 종합대책 추진상황을 주기적으로 점검·관리해 나가는 한편, 중앙 차원에서도 해경청, 방재청 등과 안전관리 협의체를 구성·운영하는 등 과도기 안전사고 예방에 만전을 기할 방침이다.
이성호 안전행정부 제2차관은 “사고가 발생했을 때 신속히 대응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사고를 미리 사전에 예방하는데 더 큰 관심과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라며 “안전관리의 최일선 현장인 지자체에서 취약요소에 대한 현장점검에 적극 나서야 할 것”이라고 당부했다.
저작권자 © 안전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