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 추석 연휴에 처음 적용되는 대체휴일제를 실시할 예정인 기업이 절반 수준에 불과한 것으로 조사됐다.
취업포털 사람인이 전국의 1115개사를 대상으로 올 추석 연휴의 대체휴일제 실시 여부를 물은 결과 50.6%가 ‘실시한다’고 응답했다.
기업규모별로 살펴보면 ‘대기업’(75%)이 대체휴일제를 가장 많이 적용할 계획인 것으로 나타났고 ‘중견기업’(68.8%), ‘중소기업’(47.9%)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대체휴일제를 실시하는 이유를 물은 결과에서는 ‘직원들의 추석 편의를 위해서’(41.1%, 복수응답)를 첫 번째로 꼽았다. 그 뒤로 ‘직원 사기를 진작시킬 수 있어서’(35.5%), ‘단체협약·취업규칙 등에 명문화되어 있어서’(19.3%), ‘업무능률을 높이기 위해서’(17.2%) 등의 대답이 이어졌다.
대체휴일제는 ‘회사의 임시 휴일을 부여’(58%), ‘취업규칙과 단체협약상 휴무’(23.9%), ‘연차휴가 공제’(18.1%) 등의 방법을 통해 시행되는 것으로 조사됐다.
반면 대체휴일제를 실시하지 않겠다고 대답한 기업(551개사)은 그 이유로 ‘의무적용 사항이 아니라서’(46.5%, 복수응답)를 가장 많이 선택했다. 다음으로 ‘업무에 차질이 생길 수 있어서’(38.5%), ‘휴일 규정에 혼란을 초래할 수 있어서’(11.6%), ‘대체인력 등 인건비가 부담돼서’(8.2%), ‘생산량이 감소할 수 있어서’(7.8%) 등으로 나타났다.
한편 설문에 참여한 기업들의 올해 추석연휴는 법정 공휴일 및 주말을 포함해 평균 4일인 것으로 집계됐다. 대체휴일제를 시행하는 기업들의 평균 휴일은 5일로, 시행하지 않는 기업보다 하루가 길었다.
취업포털 사람인이 전국의 1115개사를 대상으로 올 추석 연휴의 대체휴일제 실시 여부를 물은 결과 50.6%가 ‘실시한다’고 응답했다.
기업규모별로 살펴보면 ‘대기업’(75%)이 대체휴일제를 가장 많이 적용할 계획인 것으로 나타났고 ‘중견기업’(68.8%), ‘중소기업’(47.9%)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대체휴일제를 실시하는 이유를 물은 결과에서는 ‘직원들의 추석 편의를 위해서’(41.1%, 복수응답)를 첫 번째로 꼽았다. 그 뒤로 ‘직원 사기를 진작시킬 수 있어서’(35.5%), ‘단체협약·취업규칙 등에 명문화되어 있어서’(19.3%), ‘업무능률을 높이기 위해서’(17.2%) 등의 대답이 이어졌다.
대체휴일제는 ‘회사의 임시 휴일을 부여’(58%), ‘취업규칙과 단체협약상 휴무’(23.9%), ‘연차휴가 공제’(18.1%) 등의 방법을 통해 시행되는 것으로 조사됐다.
반면 대체휴일제를 실시하지 않겠다고 대답한 기업(551개사)은 그 이유로 ‘의무적용 사항이 아니라서’(46.5%, 복수응답)를 가장 많이 선택했다. 다음으로 ‘업무에 차질이 생길 수 있어서’(38.5%), ‘휴일 규정에 혼란을 초래할 수 있어서’(11.6%), ‘대체인력 등 인건비가 부담돼서’(8.2%), ‘생산량이 감소할 수 있어서’(7.8%) 등으로 나타났다.
한편 설문에 참여한 기업들의 올해 추석연휴는 법정 공휴일 및 주말을 포함해 평균 4일인 것으로 집계됐다. 대체휴일제를 시행하는 기업들의 평균 휴일은 5일로, 시행하지 않는 기업보다 하루가 길었다.
저작권자 © 안전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