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고 발생시 골든타임 내 신속한 대응 가능
여수국가산업단지의 오랜 숙원 사업이었던 위험 화학물질에 대한 정보망이 구축됐다. 여수화학재난 합동방재센터는 여수국가산업단지 내 화학물질 취급사업장 161개소로부터 수집한 핵심정보를 현장에서 직접 활용할 계획이라고 지난달 27일 밝혔다.
참고로 합동방재센터는 지난 1월 문을 연 이후 여수국가산업단지 내 271개 사업장 중 화학물질을 취급하고 있는 161개 사업장(59%)에 대해 사업장 일반현황, 취급 화학물질의 종류 및 수량, 공장 건물배치도, 사업장의 위험요인 등 사고대응을 위한 핵심정보를 모아 구축했다.
여수국가산단은 공장 노후화 등으로 폭발 위험을 비롯해 유해화학물질 누출 등 각종 사고위험에 노출돼 있다. 무엇보다 문제인 것은 사고가 발생해 소방당국이 현장출동 하더라도 사업장이 취급하고 있는 화학물질에 대한 정보가 부족해 제대로 된 대응을 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한다는 점이다.
실제로 화학물질 누출 시 물을 뿌리면 안 되는 상황에서 물을 뿌려 진화를 시도하다가 화를 키우는 경우가 있었고, 사고 공장에서 생산되는 위험물의 파악이 늦어지면서 사후 수습이 지연되는 사례가 적지 않았다.
이에 골든타임 내 신속한 현장대응을 위해서는 사업장별 취급 물질에 대한 정보망의 구축이 시급하다는 지적이 제기돼 왔다.
이에 합동방재센터는 센터 내 환경팀, 가스안전팀, 지자체팀, 화학구조팀, 산업안전팀 등 5개 팀이 합동으로 지난 5월부터 8월까지 4개월간 사고대응정보망 구축에 주력했다.
이번에 구축된 사고대응정보망은 A3 규격으로 출력해 출동차량 내에 비치하고, 출동 도중에 현장의 중요 대응정보를 파악하는데 활용된다. 또 매월 주기적으로 실시하는 도상훈련 등 가상훈련을 위한 자료로도 사용된다.
합동방재센터의 한 관계자는 “사업장별로 취급하고 있는 화학물질에 대한 핵심정보가 수집됨에 골든타임 내에 신속하게 사고에 대응할 수 있게 됐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안전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