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가 세월호 사고 후속대책으로 내놓은 안산 화랑유원지내 안전체험관인 ‘재난종합안전체험관’ 건립이 벽에 부딪혔다. 안산시에 시유지 부지의 무상사용을 요청했지만, 승인권을 지닌 시의회가 반대하고 나섰기 때문이다.
이에 대해 시의회는 ‘화랑유원지가 포화상태라 더 이상 시설 유치가 힘든데다 다른 도유지를 놔둔 채 굳이 시유지를 줘야 할 이유가 없다’는 입장이다.
시의회 도시환경위원회는 지난 28일 의원 간담회를 열고 이 같은 입장을 정리해 시에 전달했다. 도시환경위는 이어 다음달 12일부터 열리는 임시회에서 도(道)의 요청으로 시(市)가 제출한 ‘안전체험관 건립 부지 영구 시설물 축조 무상사용 제공 동의안’을 부결 처리할 방침이다.
박영근(새정치연합) 도시환경위원장은 “시에 있는 수많은 도유지를 놔두고 현재 시설물 포화상태인 화랑유원지 부지를 달라는 것은 이해할 수 없다”고 말했다.
앞서 도는 세월호 사고 후속대책으로 화랑유원지에 안전체험관을 짓기로 하고 지난달 시에 부지 무상사용 요청 공문을 보냈다. 도는 450억원의 국비를 들여 지하1층~지상3층 규모로 안전체험관을 지을 계획이라며 시유지인 화랑유원지 4만㎡를 제공해 달라고 요청했다.
도의 한 관계자는 “화랑유원지가 시민 접근성 등 위치적으로 가장 적합해 시에 부지제공을 요청했다”며 “시의회가 최종 불승인하면 다른 대체 부지를 찾겠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시의회는 ‘화랑유원지가 포화상태라 더 이상 시설 유치가 힘든데다 다른 도유지를 놔둔 채 굳이 시유지를 줘야 할 이유가 없다’는 입장이다.
시의회 도시환경위원회는 지난 28일 의원 간담회를 열고 이 같은 입장을 정리해 시에 전달했다. 도시환경위는 이어 다음달 12일부터 열리는 임시회에서 도(道)의 요청으로 시(市)가 제출한 ‘안전체험관 건립 부지 영구 시설물 축조 무상사용 제공 동의안’을 부결 처리할 방침이다.
박영근(새정치연합) 도시환경위원장은 “시에 있는 수많은 도유지를 놔두고 현재 시설물 포화상태인 화랑유원지 부지를 달라는 것은 이해할 수 없다”고 말했다.
앞서 도는 세월호 사고 후속대책으로 화랑유원지에 안전체험관을 짓기로 하고 지난달 시에 부지 무상사용 요청 공문을 보냈다. 도는 450억원의 국비를 들여 지하1층~지상3층 규모로 안전체험관을 지을 계획이라며 시유지인 화랑유원지 4만㎡를 제공해 달라고 요청했다.
도의 한 관계자는 “화랑유원지가 시민 접근성 등 위치적으로 가장 적합해 시에 부지제공을 요청했다”며 “시의회가 최종 불승인하면 다른 대체 부지를 찾겠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안전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