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전점검 주기 단축 필요
전국 270만개의 신호등과 거리등 가운데 10만개 이상이 감전과 같은 안전사고를 유발할 수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국회 산업통상자원위원회 김제남 의원(정의당)이 지난 15일 한국전기안전공사로부터 제출받은 ‘일반용 전기설비 점검 현황’(2011~2013년)을 분석한 자료를 발표했다.
참고로 일반용 전기설비에는 보안등, 가로등 분전함, 차량용·보행자용 신호등, 신호등 분전함, 경보등·경광등 등이 포함된다.
이에 따르면 전기 안전점검 실시 결과, 전체 267만2047개 가운데 10만4250개가 부적합 판전을 받았다.
안전관리가 가장 부실한 시설은 보안등이었다. 전국 119만2107개 중에서 4만5299개가 감전 위험이 있는 것으로 나타난 것이다. 이어서는 가로등 등주(4만876개), 가로등 분전함(7059개), 차량용 신호등(4486) 등으로 조사됐다. 설치대수에 대비한 부적합 비율은 가로등 분전함이 11.5%로 가장 높았다.
김 의원은 “자료 분석을 통해 우리 생활 주변에 위험시설이 산재해 있다는 것을 확인했다”라며 “솔선수범하여야 하는 공공기관이 민간보다 전기시설 관리에 소홀했다는 점에서 안전불감증이 여실히 드러난다”고 밝혔다.
아울러 그는 “부적합 비중이 매년 높은 것으로 나타난 시설에 대해서는 안전점검 주기를 단축하고, 취약시설 및 취약계층의 안전을 위해 전기안전 예산을 확대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저작권자 © 안전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