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시가 울산·미포국가산업단지, 온산국가산업단지 등 국가산업단지의 안전관리를 강화하기 위해 ‘국가산단 안전관리 마스터플랜’ 수립을 추진한다고 지난달 26일 밝혔다.
이를 위해 울산시는 사업타당성 조사에 착수했다. 이후 내년 2월께 용역결과가 나오면 이를 토대로 추진사업비를 정부에 요청하기로 했다.
앞서 시는 지난해 국가산단 안전관리 강화를 위해 산업통상자원부에 국가예산 50억원을 반영해 줄 것을 요청했지만 산업통상자원부가 진행하는 전국 국가산업단지 정밀안전진단과 사업이 중복된다는 이유로 예산 반영이 거부된 바 있다.
이에 따라 시는 올해 추경예산 2200만원을 편성해 국가산단 안전관리 마스터플랜 수립과 관련한 타당성 용역에 착수하기로 한 것이다.
한편 시는 국비 확보와 동시에 1차로 울산산업단지에 대한 정밀진단과 위험성평가를 실시하고, 이후에는 데이터베이스(DB) 구축을 통한 안전종합 마스터플랜을 수립한다는 방침이다. 또 이를 기반으로 유해화학물 이동경로 추적 및 시설물 모니터링 시스템도 구축해 나간다는 계획이다.
이를 위해 울산시는 사업타당성 조사에 착수했다. 이후 내년 2월께 용역결과가 나오면 이를 토대로 추진사업비를 정부에 요청하기로 했다.
앞서 시는 지난해 국가산단 안전관리 강화를 위해 산업통상자원부에 국가예산 50억원을 반영해 줄 것을 요청했지만 산업통상자원부가 진행하는 전국 국가산업단지 정밀안전진단과 사업이 중복된다는 이유로 예산 반영이 거부된 바 있다.
이에 따라 시는 올해 추경예산 2200만원을 편성해 국가산단 안전관리 마스터플랜 수립과 관련한 타당성 용역에 착수하기로 한 것이다.
한편 시는 국비 확보와 동시에 1차로 울산산업단지에 대한 정밀진단과 위험성평가를 실시하고, 이후에는 데이터베이스(DB) 구축을 통한 안전종합 마스터플랜을 수립한다는 방침이다. 또 이를 기반으로 유해화학물 이동경로 추적 및 시설물 모니터링 시스템도 구축해 나간다는 계획이다.
저작권자 © 안전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