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반인 대상 CPR 교육 및 홍보 절실

갑자기 심장박동이 멈춘 급성심장정지 환자를 대상으로 현장에서 심폐소생술(CPR)을 시행해 병원으로 이송된 사례는 절반에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급성심장정지 환자의 경우 3분 이내 신속한 응급처치가 매우 중요한 만큼 이에 대한 대책이 마련돼야 한다는 지적이 나왔다.
질병관리본부의 급성심장정지조사 결과에 따르면 2012년 기준으로 119구급대를 통해 의료기관으로 이송된 급성심장정지 환자는 총 2만6531명이었다.
이를 성별로 살펴보면 남성이 1만6995명(64.1%), 여성이 9536명(35.9%)으로 남성이 2배가량 많았다. 연령별로는 ‘70대’ 25%, ‘80세 이상’ 21%, ‘50대’ 16.1%, ‘60대’ 16%, ‘40대’ 10.7%, ‘30대’ 5% 순으로 고령자가 대다수를 차지하는 것으로 집계됐다.
이처럼 심정지 환자는 많은 수를 차지하지만 이들에 대한 응급처치는 제대로 이행되지 않았다. 현장에서부터 지속적으로 심폐소생술을 시행해 병원으로 이송된 사례는 지난 2010년 8212건(33.5%), 2011년 1만175건(40.9%), 2012년 1만2222건(46.1%) 등으로 매년 점진적으로 증가하고 있지만 여전히 50%를 밑돌고 있다. 특히 일반인이 현장에서 심폐소생술을 시행한 사례는 2012년 1730건(6.5%)에 불과했다. 이 같이 미흡한 대처로 인해 사고 후 생존한 환자비율은 2012년 4.4%로 극히 낮았다.
한편 급성심장정지환자 발생 후 신속한 신고와 대응이 생존율 향상에 매우 중요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012년 기준으로 심폐소생술 시행 시 환자의 생존여부를 분석한 결과, 전체 1만2222건 중 현장에서 심폐소생술을 시행했을 경우의 환자 생존율은 21.8%였지만, 구급대가 도착한 이후에서 조치를 받은 환자의 생존율은 12.9%로 10%포인트 가량 낮았다.
질병관리본부의 한 관계자는 “현장에서의 신속한 심폐소생술이 환자의 생명과 직결되는 만큼 일반인들을 대상으로 심폐소생술에 대한 적극적인 교육과 홍보에 나서야 한다”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안전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