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내년부터 매해 2~4월을 ‘국가안전 대진단’ 기간으로 설정해 전국적인 일제 안전점검을 실시하기로 했다. 아울러 각 부처의 안전신고 기능을 연계한 ‘안전신고 통합포털’을 올해 말까지 구축해 국민들이 보다 쉽고 편하게 안전문제와 관련된 제보를 할 수 있도록 할 방침이다.
정부는 지난 14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정홍원 국무총리 주재로 ‘안전 대진단 정책공유대회’와 ‘중앙안전관리위원회 52차 회의’, ‘안전대진단 국민참여 확산대회’를 개최했다.
특히 국민참여 확산대회에는 정홍원 국무총리와 관련 부처 장·차관, 공공기관장, 시민단체 관계자 등 600여명이 참석했다.
정부는 이날 행사에서 최근 추진 중인 ‘국가안전 대진단’에 국민들의 참여와 협조를 이끌어 내기 위한 다양한 방안을 모색했다.
이에 따르면 정부는 올해 말까지 ‘안전신고 통합포털’을 구축하기로 결정했다. 정부는 안전신고 통합포털을 구축하기 이전까지 ‘안전신문고’를 운영할 방침이다.
참고로 안전신문고는 지난달 30일 안전행정부 및 국민권익위원회 홈페이지에 별도의 메뉴로 설치됐다. 정부는 이를 통해 국민들이 위험요소를 신고하면 담당자가 실명으로 7일 이내에 답변하고, 시급한 사안에 대해서는 즉시 현장 점검반이 조치하는 방식으로 운영하고 있다.
아울러 정부는 현재 197억의 예비비를 투입해 위험저수지와 급경사지 등에 대한 노후시설 정밀 안전점검을 추진하고 있는데, 올해 말까지 학교와 학교 주변에 대한 안전진단도 실시할 예정이다.
특히 정부는 내년부터 매해 2~4월 중에 ‘국가안전 대진단’을 실시한다는 계획이다. 국가안전 대진단 기간에는 전국적인 일제 안전점검이 진행된다.
정부는 안전 대진단을 통해 도출된 안전관련 정보들은 빅데이터 형태로 관리하고 시설, 제품, 서비스 등의 분야에서 불합리한 안전 기준을 정비할 방침이다. 아울러 연말까지는 ‘안전산업 육성 종합계획’을 마련하기로 했다.
정홍원 국무총리는 “국민들의 안전을 위해서는 정부가 철저한 지도감독에 나서는 것은 물론 국민 각자는 ‘내가 곧 안전지킴이’라는 마음가짐을 가져야 한다”라며 “일상생활에서부터 안전을 지키는데 더 많은 관심과 노력이 필요하다”고 당부했다.
박근혜 대통령은 ‘안전대진단 국민참여 확산 대회’에 앞서 영상 메시지를 통해 “국민들께서 생활주변의 위험요소와 불합리한 안전 제도를 찾아내 신고해 주시면 중앙정부와 자치단체는 최선을 다해 신속하게 처리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