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양성분 확인 및 섭취량 조절 필요

라면의 소금 함유량이 제품에 따라 최대 1.5배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조사됐다. 또 일부 제품의 경우 소금 함량이 1일 기준치를 초과하기도 했다.
한국소비자원은 소비자 선호도가 높은 봉지 라면 12개 제품을 대상으로 영양성분을 조사한 결과, 제품별 나트륨 함량은 1봉지 당 1350∼2069㎎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고 지난 15일 밝혔다. 즉, 제품별로 최대 1.5배 가량 차이나는 것이다.
제품별로는 삼양라면이 2069㎎으로 가장 높아 1일 영양소기준치인 2000㎎를 웃돌았다. 이어 신라면 1895㎎, 안성탕면 1843㎎, 꼬꼬면 1770㎎, 무파마탕면 1737㎎ 등의 순이었다. 이들 5개 제품의 나트륨 함량은 전체 평균치 1729㎎ 보다 높았다.
참고로 올해 삼양라면과 신라면, 오찡어짬뽕은 두 차례에 걸쳐 재출시 됐는데 이들 라면을 포함하면 나트륨 함량은 안성탕면이 가장 높았고, 삼양라면(1840㎎), 신라면(1790㎎), 꼬꼬면, 오징어짬뽕(1750㎎) 등의 순으로 조사됐다.
반면 나트륨 함량이 가장 낮은 제품은 나가사끼짬뽕(1350mg)과 스낵면 쇠고기맛(1582mg)이었다. 포화지방 함량도 제품별로 최대 1.4배나 차이가 났다. 라면의 포화지방 함량은 6.3∼9.1g 수준으로 1개당 평균 7.7g에 달했다. 이는 1일 영양소기준치(15g)의 51.3%에 달하는 것이다.
한국소비자원의 한 관계자는 “나트륨을 과다 섭취할 경우 고혈압과 심혈관계 질환이 유발될 수 있다”라며 “나트륨과 포화지방 섭취량을 줄이기 위해 국물을 적게 먹거나 스프를 덜 넣고 조리할 필요가 있다”고 조언했다.
덧붙여 이 관계자는 “제품별 열량, 칼슘 등 영양성분 함량이 차이가 나기 때문에 제품에 표시된 영양성분을 확인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안전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