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흡기나 피부 등에 접촉시 각종 질환 유발해
서울시내 실내공기오염도 기준을 가장 많이 위반한 시설은 ‘어린이집’인 것으로 드러났다. 정성호 의원(새정치민주연합)은 지난 18일 서울시로부터 제출받은 ‘2011~2014년 7월 다중이용시설 실내 공기질 측정’ 자료를 분석한 결과를 발표했다.
참고로 서울시 보건환경연구원은 환경부의 ‘실내 공기질 공정시험기준’에 따라 오염도를 대표할 수 있고, 시설 이용자 수가 많은 어린이집, 의료기관, 도서관, 목욕탕 등을 대상으로 공기질을 측정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실내의 미세먼지, 일산화탄소, 이산화탄소, 총부유세균 등의 수준을 평가해 위반 여부를 판가름하고 있는 것이다.
자료에 따르면 실내공기오염도 기준을 위반한 시설은 모두 165곳으로 나타났다. 이 가운데 ‘어린이집’은 123곳(75%)으로 대다수를 차지했다.
연도별로 보면 지난 2011년 위반시설 40곳 중 ‘어린이집’은 33곳(83%), 2012년 71곳 중 56곳(79%), 2013년 37곳 중 23곳(62%), 지난 7월까지는 17곳 중 11곳(65%)으로 집계됐다.
‘어린이집’ 다음으로 실내공기오염도 기준을 많이 위반한 시설은 ‘의료기관’(11곳), ‘산후조리원’(7곳)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실내공기오염도 기준 위반시설에 대해서는 개선명령과 함께 1000만원 이하의 과태료가 부과된다.
정 의원은 “호흡기나 피부 등에 미세먼지가 접촉될 경우 각종 질환이 유발될 수 있기 때문에 각별히 주의해야 한다”라며 “면역력이 약한 어린이나 환자가 있는 어린이집, 의료기관이 실내공기오염도 기준 위반시설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다는 것은 매우 심각한 사안인 만큼 관련 당국의 엄격한 관리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안전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