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해화학물질 취급업소 실태조사 통해 현실적인 대책 마련해야
유해화학물질 사고의 절반 가량이 산업단지가 아닌 지역에서 발생하고 있어, 산단 내 위치한 화학재난합동방재센터의 초기 대응이 불가능하다는 지적이 나왔다. 이인영 의원(새정치민주연합)은 화학물질안전원으로부터 제출받은 ‘화학물질안전원 설립 이후 접수·조치한 화학사고 상황보고서’를 분석한 결과를 발표했다.
참고로 화학물질안전원은 구미 불산 누출사고 이후 화학물질 사고가 연이어 발생하자 범정부차원에서 올해 1월 24일 설립된 화학물질 사고 및 테러 예방 전담기관이다.
이 의원에 따르면 산단 및 산단 인근지역에서는 전체의 절반 이상(55%)에 해당하는 화학사고가 발생했다. 즉, 나머지 45%는 산단 외 지역에서 발생한 것이다.
대표적인 예로 지난 9월 발생한 ‘여수 염산 탱크로리 차량 전복사고’도 염산을 가득 실은 탱크로리 차량이 가드레일을 들이받고 전복되면서 염산이 다량 누출되고, 인근 지역주민들이 큰 불안에 떨었던 바 있다.
문제는 이처럼 산단 외 지역에서 발생한 화학물질 사고는 사실상 초기 대응이 어렵다는 것이다. 정부는 시흥·서산·익산·여수·울산·구미 등 6개 산단 지역에 ‘화학재난합동방재센터’를 설치 운영 중이다. 때문에 산단 외 지역에서 발생하는 사고에 대해서는 골든타임(30분) 내에 적절하게 대응하지 못하는 것이다.
화학사고는 초기대응이 중요한데 현재 상당수 사고가 화학물질 운송 중 도로상에서 발생하거나, 화학재난합동방재센터의 관할범위 밖에서 일어나고 있어서 현재의 안전시스템에 허점이 발견됐다는 것이다.
실제로 산단 및 산단 인근지역에서 발생한 사고에 대응하는 시간은 평균 28분이었지만 산단 외 지역에서는 무려 1시간 46분이 소요됐다.
이인영 의원은 “유해화학물질 취급업소가 규제나 감시를 피해서 지방 곳곳으로 이전하고 있는 상황이라는 것을 감안해 이에 대한 실태조사와 현실성 있는 사고대응 대책 등을 종합적으로 마련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안전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