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수력원자력(한수원)이 방사선안전관리 교대근무자를 두 배 가량 늘리는 등 방사선안전관리 혁신방안을 마련키로 했다.
한수원은 그동안 논란이 됐던 방사선 용역 업무범위를 명확하게 하고 연말까지 절차나 지침을 보완하는 내용의 혁신방안을 확정해 내년 1월부터 시행한다고 16일 밝혔다.
이를 위해 한수원은 방사선안전관리 전문인력들로 태스크포스팀(TFT)을 구성하고 연말까지 세부 실행방안 및 로드맵을 구체적으로 수립할 계획이다.
주요 내용을 살펴보면 먼저 방사선 안전관리에 종사하는 교대근무 인력을 기존 발전소당 5명에서 10명 수준으로 증원하기로 했다.
또 방사선 안전관리 담당 직원을 사내 인증제(Certified HP)를 통해 지정, 전문성을 높이고 내부 전산망인 전사업무시스팀(SAP)에 접근할 수 있는 보안시스템도 통제 수위를 높일 방침이다.
아울러 방사성폐기물 처리시스템을 개선하고 차세대 액체폐기물처리설비를 개발하는 등 방사성물질 배출을 제로화하기 위한 노력도 병행키로 했다.
한수원은 그동안 논란이 됐던 방사선 용역 업무범위를 명확하게 하고 연말까지 절차나 지침을 보완하는 내용의 혁신방안을 확정해 내년 1월부터 시행한다고 16일 밝혔다.
이를 위해 한수원은 방사선안전관리 전문인력들로 태스크포스팀(TFT)을 구성하고 연말까지 세부 실행방안 및 로드맵을 구체적으로 수립할 계획이다.
주요 내용을 살펴보면 먼저 방사선 안전관리에 종사하는 교대근무 인력을 기존 발전소당 5명에서 10명 수준으로 증원하기로 했다.
또 방사선 안전관리 담당 직원을 사내 인증제(Certified HP)를 통해 지정, 전문성을 높이고 내부 전산망인 전사업무시스팀(SAP)에 접근할 수 있는 보안시스템도 통제 수위를 높일 방침이다.
아울러 방사성폐기물 처리시스템을 개선하고 차세대 액체폐기물처리설비를 개발하는 등 방사성물질 배출을 제로화하기 위한 노력도 병행키로 했다.
저작권자 © 안전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