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안전예산 22% 증액, 1조원 돌파
주요 시도가 발표한 내년도 예산 가운데 안전 분야 예산이 크게 늘어난 것으로 확인됐다. 올 한해 세월호 사고를 비롯해 판교 환풍구 붕괴 등 각종 사고가 이어지면서 사회적으로 안전에 대한 불안감이 반영된 결과다. 서울시는 10일 올해 예산보다 4.7% 늘어난 25조 5526억원의 2015년도 예산안을 발표했다. 이 가운데 도시안전 분야 예산은 전년 대비 22% 늘어난 1조 1801억원으로 처음으로 1조원을 돌파했다.
도시안전 분야는 도로함몰의 원인으로 지목된 노후 하수관로 조사 및 보수 공사(1345억원), 올해 처음 편성된 환기구 관리(30억원) 등에 사용된다.
경기도도 올해보다 11.4% 증가한 내년 예산안 17조8185억원을 편성했다. 이 가운데 재난안전 예산은 3136억원으로 올해보다 1123억원 증가했다.
일상생활에서의 위험요소 예방·관리가 중요하다는 지적에 따라 재해위험지구 정비 192억원, 재해위험 저수지 정비 22억원, 서민 밀집 위험지역 정비 44억원 등 재해예방에 332억원이 편성됐고 소방분야에서는 재난 전문가 등 소방인력 충원 200여억원, 소방차량·구급장비 395억원 등 1157억원이 반영됐다.
지난 4년 동안 안전예산을 가장 크게 증액했던 경상북도는 내년에도 안전예산을 늘린다. 2015년도 예산안은 총 규모 7조3412억원으로 안전예산은 올해보다 17.5% 늘어난 1896 억원을 투입한다.
이밖에 충청남도도 내년 예산 5조2289억원 가운데 안전예산을 2977억원을 배정했고, 충북도 역시 총 예산 3조 2620억원 가운데 재난안전센터체험관 신설(11억), 수해상습지(597억) 및 재해위험지구 정비(254억), 소하천 정비사업(221억), 노후 소방차량 및 장비 보강(119억), CCTV 통합관제 요원센터 구축(10억) 등으로 1972억원을 사용키로 했다.
저작권자 © 안전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