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등록 불법건축·비치된 소화기 9개 중 3개는 10년 이상 노후제품

전남 담양의 한 펜션에서 불이 나 10명의 사상자가 발생했다. 전남도소방본부에 따르면 지난 15일 오후 9시 40분께 전남 담양군 대덕면 한 펜션의 별관(야외 파티장)에서 불이 발생했다.
화재는 신고를 받고 출동한 119에 의해 50여분 만에 진화됐다. 하지만 이 사고로 고모씨와 유모씨 등 4명이 숨졌으며 펜션 주인 최모씨와 대학생 장모씨 등 6명이 크고 작은 화상을 입어 인근 병원으로 이송됐다.
주인 최씨를 제외한 사망자와 부상자 대부분은 전남 나주시 동신대학교 재학생과 졸업생인 것으로 확인됐다. 이들은 D대학교 패러글라이딩 동아리 선·후배 사이로 담양의 한 야산에서 라이딩을 한 뒤 선·후배 26명이 펜션에서 고기를 구워먹던 중 이 같은 변을 당한 것으로 전해졌다.
소방당국은 고기를 굽던 중 ‘펑’하는 소리와 함께 불티가 억새로 덮인 지붕에 튀면서 불이 난 것으로 보고 정확한 피해 규모와 화재 원인을 조사하고 있다.
◇이번에도 안전불감증
이번 화재사고도 안전불감증에 기인한 사고라는 오명에서 벗어나지 못할 것으로 보인다. 이날 화재는 바비큐를 구워 먹을 수 있는 야외 파티장에서 발생했다. 58㎡ 면적의 야외 바비큐장은 단층으로 건물 바닥 등이 목재로 돼 있다.
더욱이 건물 벽면은 화재에 취약한 샌드위치 패널로 지어졌으며 지붕은 불이 옮겨 붙기 쉬운 억새로 덮여 있었다. 지붕과 바닥 높이는 2.5m에 불과했다. 창문만 몇 개 있을 뿐 출입문도 단 1개뿐이었다.
특히 화재가 발생한 야외 파티장은 건축물대장에 등록되지 않은 불법 건축물인 것으로 확인됐다. 뿐만 아니라 이곳의 소방시설 역시 부실했다. 사고 당시 소화기 9개가 비치돼 있었지만 이 중 3개는 생산된 지 10년이 넘은 노후제품이었던 것으로 밝혀졌다.
또 화재 당시 투숙객들이 사용한 소화기 2개도 10년 이상 경과됐고, 1개는 제대로 작동되지 않아 피해를 키운 것으로 조사됐다.
◇여야, 재발방지 대책 마련 촉구
여야는 담양 펜션 화재는 사회전반에 안전불감증이 여전함을 보여주는 사례라며 우려를 나타내고 대책마련을 촉구했다. 권은희 새누리당 대변인은 지난 16일 브리핑에서 “이번 사고로 목숨을 잃은 분들의 명복을 빌며, 소중한 가족을 잃은 분들에게 위로의 말씀 전한다”며 “부상을 입은 분들의 빠른 쾌유를 바란다”고 말했다.
또 권 대변인은 “사고가 조속히 수습되는 동시에 사고의 원인이 명확히 규명돼야 할 것이다”라며 “정부는 국민안전에 최선을 다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박수현 새정치민주연합 대변인도 “이번에 화재가 발생한 펜션은 화재 등 재난에 취약한 구조임에도 안전점검 사각지대였음이 드러났다”며 “법적·제도적인 허점에다 허술한 안전관리가 만들어낸 인재”라고 주장했다. 덧붙여 박 대변인은 “더 이상 국민의 생명이 헛되게 사라지지 말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펜션·민박 긴급 안전점검 돌입
전라북도는 펜션과 민박 등에 대해 긴급 안전점검을 벌이기로 했다. 도는 오는 28일까지 소규모 펜션과 민박시설·청소년 수련시설·자연휴양림 숙박시설 등 1266곳에 대한 안전점검을 실시한다고 지난 17일 밝혔다.
이번 점검은 법률상 규정돼있지 않다는 이유로 그동안 안전점검 대상에서 제외됐던 1000㎡ 이하의 숙박시설을 대상으로 진행된다.
도는 시·군과 합동으로 점검을 실시하며, 겨울철 화재발생에 대비한 지도점검도 병행키로 했다. 중점 점검사항은 △시설물 관리상태 △무허가건물 존치 유무 △소방시설 설치 및 유지관리 상태 여부 △바비큐장 및 편의시설 전기·가스시설 안전여부 등이다.
저작권자 © 안전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