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는 이공계 전공자를 선호하는 현상이 두드러졌고 자기소개서 항목을 세분화하는 기업이 늘어나는 등 채용시장에 변화가 있었다. 취업포탈 사람인은 이 같은 변화를 반영하는 ‘2014년 채용시장 신조어’를 발표했다.
◇인구론
기업들이 이공계 졸업생을 선호하면서 상대적으로 인문계 학생들의 취업난이 심화되고 있다. 이런 세태를 반영하는 말이 바로 ‘인문대 졸업생의 구십퍼센트는 논다’는 의미의 ‘인구론’이다.
실제 한국교육개발원의 ‘고등교육기관 졸업자 건강보험DB연계 취업통계연보’를 살펴보면 인문계열 졸업자의 취업률은 45.9%로 공학계열(66.9%), 자연계열(55.6%)보다 낮았다. 또 최근 3년간 43개 인문학 관련 학과가 통폐합되는 등 취업률이 낮은 인문학과가 존폐위기에 놓여 있다.
◇자소설
스토리의 중요성이 대두되면서 자기소개서가 마치 소설을 쓰듯 창작해 자신을 꾸미는 것으로 변질됐다는 의미다. 이는 거창하고 이색적인 경험을 보여줘야 한다는 강박관념 때문에 발생했다.
◇돌취생
기업 및 직무에 대한 고민부족, 연봉, 복리후생 등 기업에 대한 정확한 정보가 부족해 입사 후 다시 취업준비생 신분으로 돌아가는 ‘돌취생’이 늘고 있다. 실제 사람인이 조사한 결과 지난 1년간 신입사원을 채용한 기업 31개사 가운데 77%는 조기퇴사자가 발생했다.
◇열정 페이
무급 또는 적은 급여를 주면서 일을 시키는 기업들이 있다. 열정만 바라고 급여는 그만큼 제공하지 않는 행태를 꼬집어 ‘열정 페이’라고 부른다.
◇동아리고시
취업이 어렵다 보니 봉사활동, 학술 등 취업에 도움이 되는 동아리들의 인기가 높아지면서 이에 가입하기 위한 경쟁도 치열해 ‘동아리고시’라는 말까지 나오고 있다.
특히 유명 기업에서 일하는 선배가 입사비결을 전수해주거나 기업과 연계해 프로젝트를 수행할 수 있는 등의 취업동아리는 서류전형은 물론 면접 등을 거쳐야 한다.
◇청년실신
등록금 부담으로 대출을 받고 졸업 후에는 취업이 늦어져 빚을 갚지 못하는 악순환이 반복되면서 많은 청년들이 실업자나 신용불량자가 되는 ‘청년실신’ 상태가 빚어지고 있다.
사람인이 집계한 결과 20~30대 성인남녀 10명 중 4명은 사회진출 전에 평균 1564만원의 빚을 지고 있었다. 이로 인해 신용불량자가 된 경험이 사람도 12.6%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인구론
기업들이 이공계 졸업생을 선호하면서 상대적으로 인문계 학생들의 취업난이 심화되고 있다. 이런 세태를 반영하는 말이 바로 ‘인문대 졸업생의 구십퍼센트는 논다’는 의미의 ‘인구론’이다.
실제 한국교육개발원의 ‘고등교육기관 졸업자 건강보험DB연계 취업통계연보’를 살펴보면 인문계열 졸업자의 취업률은 45.9%로 공학계열(66.9%), 자연계열(55.6%)보다 낮았다. 또 최근 3년간 43개 인문학 관련 학과가 통폐합되는 등 취업률이 낮은 인문학과가 존폐위기에 놓여 있다.
◇자소설
스토리의 중요성이 대두되면서 자기소개서가 마치 소설을 쓰듯 창작해 자신을 꾸미는 것으로 변질됐다는 의미다. 이는 거창하고 이색적인 경험을 보여줘야 한다는 강박관념 때문에 발생했다.
◇돌취생
기업 및 직무에 대한 고민부족, 연봉, 복리후생 등 기업에 대한 정확한 정보가 부족해 입사 후 다시 취업준비생 신분으로 돌아가는 ‘돌취생’이 늘고 있다. 실제 사람인이 조사한 결과 지난 1년간 신입사원을 채용한 기업 31개사 가운데 77%는 조기퇴사자가 발생했다.
◇열정 페이
무급 또는 적은 급여를 주면서 일을 시키는 기업들이 있다. 열정만 바라고 급여는 그만큼 제공하지 않는 행태를 꼬집어 ‘열정 페이’라고 부른다.
◇동아리고시
취업이 어렵다 보니 봉사활동, 학술 등 취업에 도움이 되는 동아리들의 인기가 높아지면서 이에 가입하기 위한 경쟁도 치열해 ‘동아리고시’라는 말까지 나오고 있다.
특히 유명 기업에서 일하는 선배가 입사비결을 전수해주거나 기업과 연계해 프로젝트를 수행할 수 있는 등의 취업동아리는 서류전형은 물론 면접 등을 거쳐야 한다.
◇청년실신
등록금 부담으로 대출을 받고 졸업 후에는 취업이 늦어져 빚을 갚지 못하는 악순환이 반복되면서 많은 청년들이 실업자나 신용불량자가 되는 ‘청년실신’ 상태가 빚어지고 있다.
사람인이 집계한 결과 20~30대 성인남녀 10명 중 4명은 사회진출 전에 평균 1564만원의 빚을 지고 있었다. 이로 인해 신용불량자가 된 경험이 사람도 12.6%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저작권자 © 안전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