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녀 수명차이 역대 최저수준 기록
지난해 한국인의 기대수명은 남성이 78.5년, 여성이 85.1년인 것으로 조사됐다. 또 성별을 고려하지 않은 평균 기대수명은 81.9년인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 3일 통계청이 발표한 ‘2013년 생명표’에 따르면 지난해 출생한 아기가 앞으로 생존할 것으로 예상되는 기대수명은 남성이 78.5년, 여성이 85.1년으로 2012년에 비해 각각 0.6년과 0.4년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 지난 2003년과 비교하면 남성은 4.7년, 여성은 4.2년이 늘어났다.
이에 따라 남녀 간 기대수명의 차이는 1970년대 이후 최저수준인 6.6년을 기록하게 됐다. 지난 1985년 8.4년 기록하며 가장 큰 격차를 보였다가 이후 감소세로 접어들면서 지난해 최저수준을 나타낸 것이다.
한편 이와 같은 남녀 기대수명은 OECD 회원국 평균보다 높은 것이다. 한국 남성의 평균 기대수명은 OECD회원국 남성의 평균(77.6년)보다 1년 정도 높고, 여성의 경우에도 OECD회원국 여성의 평균인 82.8년보다 2.2년가량 높다. 이 같은 수치는 OECD회원국 가운데 남성은 18위, 여성은 4위에 해당하는 수준이다.
참고로 기대수명이 가장 높은 국가는 남성의 경우 아이슬란드로 평균 81.6세였고, 여성은 일본이 86.4년으로 가장 높았다.
이밖에 남녀 기대수명의 차이는 에스토니아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에스토니아 남성의 기대수명은 71.4년인데 반해 여자는 81.5년으로 남녀차가 10.1년이나 났다. OECD 회원국의 평균 남녀기대수명 차이인 5.3년보다 두 배 가량 높은 수준이다. 우리나라도 남녀 기대수명의 차이는 6.5년으로 OECD회원국 가운데 여섯 번째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저작권자 © 안전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