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정적인 노후준비 가능·연봉보다 오래 일하는 것 중요
직장인 10명 중 7명은 일자리는 유지하되 임금을 일정 연령부터 단계적으로 낮추는 ‘임금피크제’에 대해 긍정적으로 생각하고 있는 것으로 집계됐다. 취업포털 사람인이 최근 직장인 559명을 대상으로 임금피크제를 통한 정년연장에 대한 생각을 조사한 결과 응답자의 72.3%가 ‘긍정적’이라고 대답했다.
직급별로 살펴보면 ‘과장급’(82.4%)이 가장 많았고 ‘부장급 이상’(80.2%), ‘사원급’(70.7%), ‘대리급’(64.4%) 등의 순이었다. 성별에 따라서는 ‘남성’(76.8%)이 ‘여성’(64.4%)보다 긍정적이었다.
긍정적으로 생각하는 이유로는 ‘노후 준비를 안정적으로 할 수 있어서’(64.9%, 복수응답)라는 답변이 가장 많이 꼽혔다. 이어 ‘연봉보다 오래 일하는 게 더 중요해서’(45%), ‘고령화 사회 대비책이라서’(43.6%), ‘업무 노하우 등을 활용할 수 있어서’(26.7%), ‘압박 없이 여유있게 일할 수 있어서’(24%), ‘청년 채용 등과 균형을 맞출 수 있어서’(16.1%) 등이 있었다.
반면 임금피크제에 부정적으로 생각하는 응답자(155명)들의 대다수는 그 이유로 ‘기업에만 유리한 방법인 것 같아서’(41.3%, 복수응답)를 꼽았고 ‘직·간접적 퇴사압박이 심할 것 같아서’(40%), ‘변칙운용이 많을 것 같아서’(34.2%), ‘연봉이 줄어들어서’(32.3%), ‘어차피 정년까지 일할 수 없을 것 같아서’(29.7%) 등으로 이어졌다.
한편 희망하고 있는 정년으로는 ‘64세 이상’이 22.9%로 가장 많았고 ‘58~60세 이하’(22%), ‘61~63세 이하’(18.8%), ‘무정년’(17%), ‘55~57세 이하’(5.4%) 등의 순이었다.
저작권자 © 안전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