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재감지기와 소화기 등 자발적 설치문화 조성
국민안전처는 주택에 화재감지기와 소화기 등 기초소방시설을 자발적으로 설치하는 문화를 정착시키기 위한 홍보 캠페인을 실시한다고 지난 15일 밝혔다. 이는 주택 화재로 많은 피해가 발생하고 있고, 이를 줄이기 위해서는 초기 소화에 큰 역할을 하는 단독경보형감지기와 소화기의 설치가 반드시 필요하기 때문이다.
실제로 안전처가 국가화재정보시스템을 통해 올해 1~11월까지 발생한 장소별 화재통계를 분석한 결과, 주택에서 가장 많은 화재가 일어났다. 이 기간 발생한 전체 화재는 3만8144건으로 집계된 가운데 주택(공동·단독·기타)에서 발생한 화재가 전체의 25.4%인 9699건으로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한 것이다.
특히 화재로 인한 전체 사망자의 56.8%(167명), 부상자 중 40.8%(662명)가 주택에서 피해를 입은 것으로 나타나 주택화재에 대한 각별한 대비가 필요한 것으로 파악됐다.
참고로 정부는 화재로 인한 주택 피해를 줄이기 위해 지난 2011년 ‘소방시설 설치·유지 및 안전관리에 관한 법률’을 개정한 바 있다.
이에 따르면 2012년 2월 5일부터 신규 주택은 의무적으로 기초소방시설(소화기 및 단독경보형 감지기)을 설치해야 한다. 기존 주택도 2017년 2월 4일까지 설치를 마쳐야 한다.
이에 안전처 중앙소방본부와 전국 지방소방본부는 화재피해를 원천적으로 줄일 수 있는 기초소방시설을 전국 88만 기초생활수급가구에 우선 보급·설치하기로 했다. 현재까지 70여만 가구에 보급했고 내년까지 보급을 완료한다는 계획이다.
안전처의 한 관계자는 “기초소방시설을 자율적으로 설치하는 문화를 정착시키기 위해 다양한 홍보활동을 추진할 것”이라며 “소화기와 단독경보형 감지기 설치에 동참해 달라”고 당부했다.
저작권자 © 안전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