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고체계 개선 통해 신속한 재난재해대응체계 구축

앞으로 정부가 유해화학물질 관리나 관련 사고 발생 시 로봇 등 첨단 기술을 활용하여 대처에 나설 것으로 보인다. 또 보다 광역적이고 신속한 재난대응을 위해 재난·재해 발생시 보고 체계도 더욱 간소화 할 것으로 전망된다.
박인용 국민안전처 장관은 지난 19일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이같은 국민안전처 운영 방안을 밝혔다. 이날 박인용 장관은 유해화학물질 사고 발생시 대처 방안, 국민안전처 조직 융화방안, 재난재해 발생시 보고체계 등과 관련해 구상 중인 계획을 내비쳤다.
먼저 박 장관은 유해화학물질 관리나 사고 발생 시 수습과정에서 대응인력이 유해화학물질에 노출돼 2차 피해를 입는 것을 방지하고 더욱 완벽한 유해화학물질 관리체계를 구축하기 위해 로봇 등 첨단 기술을 적극 활용할 방침임을 밝혔다.
박 장관은 “위험한 유해화학물질 처리 과정에서는 전문 대원도 생명을 잃을 수 있기 때문에 대통령께 로봇 등 첨단 기술을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찾아나가야 한다고 조언했다”면서 “보다 심층적인 정보 습득을 통해 계획을 점차 구체화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또 박 장관은 재난재해 발생시 현재의 단계적인 보고절차가 신속한 대응을 저해하는 요소가 있어, 사고 발생 순간부터 최고결정권자에게 즉각적인 보고가 이뤄지는 체계로 개선 중에 있음도 밝혔다.
박 장관은 “전국 소방본부장들에게 재난이 발생하면 내게도 ‘동시 보고하라’고 얘기했다”면서 “신속히 보고를 받고 그에 적합한 대처 방안을 찾아 지시를 내림으로써 재난 대처에 빈 틈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겠다”고 강조했다.
최근 도처에서 우려를 나타내고 있는 국민안전처 내부 조직의 융화에 대해서도 의견을 피력했다. 소방과 해양, 행정, 군인 등 다양한 직군이 모여 있는 만큼, 단 시간 내 문제 해결은 어렵지만 흉내를 내게 해서라도 최대한 빨리 서로를 이해하고 이를 통해 시너지 효과를 내게 한다는 것이 그 핵심이다.
박 장관은 “하찮은 일이라도 서로 닮아가려 같은 목소리를 내다보면 자연스레 조직이 융합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그는 “조직융합 테스크포스(TF)도 만들어 추진하고 있는데 결국 어떻게 조직을 융합할지가 최대 관건”이라며 “위아래를 따지지 않고 소통하는 가운데 적재적소에 인력을 배치함으로써 1년 내에 자리를 잡도록 하겠다”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 안전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