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개발연구원 “실효성 있는 범정부 화학물질 안전관리 종합대책 필요”
우리나라 국민의 절반 이상은 세월호 참사 이후에도 우리사회의 안전인식과 대응이 좋아지지 않았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화학물질 누출사고에 대한 불안감도 상당한 것으로 조사됐다. 경기개발연구원은 지난 4일 ‘경기도 유해화학물질 안전관리를 위한 4대 전략’ 연구보고서에서 이같은 설문조사 결과를 밝혔다.
연구원이 전국 성인남녀 10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한 결과, ‘세월호 참사 이후 우리사회의 안전에 대한 인식과 대응이 좋아지지 않았다’는 응답이 절반을 조금 넘는 54.5%를 기록했다.
또 ‘화학물질 누출사고에 대한 우리사회의 대비 태세가 개선되지 않았다’는 의견이 62.5%였고, ‘화학물질 누출사고에 대한 불안감을 느낀다’는 답변과 ‘일상생활에서 화학물질로 인해 건강이 위협받고 있다’는 대답도 각각 56%, 47.1%에 달했다.
화학물질로부터 안전한 사회를 만들기 위해 가장 필요한 것을 묻는 질문에는 응답자의 90% 이상이 ‘안전관리를 위한 법·제도 강화’와 ‘취급 사업장 관리 감독 강화’를 꼽았다.
연구원은 이같은 조사결과를 토대로 유해화학물질로부터 안전한 사회를 구축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했다.
연구원의 한 관계자는 “유해화학물질로부터 안전한 사회를 만들기 위해서는 사고대응체계의 선진화가 무엇보다 중요하다”라며 “범정부적인 화학물질 안전관리 종합대책의 실효성을 확보하고 화학재난 합동방재센터 운영, 산단 주변지역 주민의 안전계획 수립, 안전교육·홍보 등이 병행 추진돼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서 그는 “사업장별 2년 단위 안전진단 의무화와 위험등급별 맞춤관리도 절실하다”라며 “유해화학물질 관리대상을 확대하고 노출위험을 줄일 수 있는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이외에도 연구원은 △중소 영세 사업장 지원을 위한 환경닥터제 프로그램 확대 △유해화학물질 위험소통체계 구축 △정보공개·유해화학물질 위험지도 작성 등의 방안을 추가로 제시했다.
저작권자 © 안전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