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전과 재난, 소방, 해양안전 등 각종 안전과 관련된 통계와 현황이 통합 관리된다.
국민안전처는 우리나라 국민안전 통계에 대한 전수조사를 실시했다고 최근 밝혔다. 이번 조사는 기존 안전행정부 안전관리본부와 소방방재청, 해양경찰청에서 각각 관리해오던 안전관련 통계를 통합 관리하고, 공유하기 위해 진행됐다.
이번 통계조사는 국가승인통계와 e-나라지표, 이미 발간된 연보 및 직제 등을 기초로 조사대상을 선정했으며 최종 110종의 통계가 발표됐다.
이에 따르면 화재사고의 경우 2014년 한 해 동안 4만2135건이 발생해 2180명(사망 325명, 부상 1855명)의 인명피해를 냈다. 이는 최근 7년간(2007~2013) 연평균에 비해 발생건수와 인명피해가 각각 6.3%(2829건), 3.3%(74명) 감소한 수치다.
아울러 최근 5년간(2010~ 2014) 발생한 화재의 원인을 살펴보면 부주의(47%)가 절반 가까이를 차지했고, 이어서는 전기(24%), 기계(10%)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또한, 건축·구조물(주거, 판매·업무, 산업시설 등)에서 가장 많이 발생(2만6415건, 62%)한 것으로 파악됐다.
참고로 화재통계 기록 이후 인명피해가 가장 컸던 대형화재는 2003년 2월 발생한 대구 지하철 화재사고(사망 192명, 부상 148명)로 나타났다.
한편 최근 5년간(2009~2013) 물놀이 안전사고로 연평균 48명에 해당하는 인명피해가 발생했으며, 지난해에는 이의 절반 수준(24명)으로 대폭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국민안전처는 이 같은 통계의 상세정보를 오는 25일부터 국민안전처 홈페이지(www.mpss.go.kr)에 게시하고 앞으로 국민안전 통계정보를 지속적으로 발굴해 적극적으로 공유해 나간다는 방침이다.
국민안전처는 우리나라 국민안전 통계에 대한 전수조사를 실시했다고 최근 밝혔다. 이번 조사는 기존 안전행정부 안전관리본부와 소방방재청, 해양경찰청에서 각각 관리해오던 안전관련 통계를 통합 관리하고, 공유하기 위해 진행됐다.
이번 통계조사는 국가승인통계와 e-나라지표, 이미 발간된 연보 및 직제 등을 기초로 조사대상을 선정했으며 최종 110종의 통계가 발표됐다.
이에 따르면 화재사고의 경우 2014년 한 해 동안 4만2135건이 발생해 2180명(사망 325명, 부상 1855명)의 인명피해를 냈다. 이는 최근 7년간(2007~2013) 연평균에 비해 발생건수와 인명피해가 각각 6.3%(2829건), 3.3%(74명) 감소한 수치다.
아울러 최근 5년간(2010~ 2014) 발생한 화재의 원인을 살펴보면 부주의(47%)가 절반 가까이를 차지했고, 이어서는 전기(24%), 기계(10%)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또한, 건축·구조물(주거, 판매·업무, 산업시설 등)에서 가장 많이 발생(2만6415건, 62%)한 것으로 파악됐다.
참고로 화재통계 기록 이후 인명피해가 가장 컸던 대형화재는 2003년 2월 발생한 대구 지하철 화재사고(사망 192명, 부상 148명)로 나타났다.
한편 최근 5년간(2009~2013) 물놀이 안전사고로 연평균 48명에 해당하는 인명피해가 발생했으며, 지난해에는 이의 절반 수준(24명)으로 대폭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국민안전처는 이 같은 통계의 상세정보를 오는 25일부터 국민안전처 홈페이지(www.mpss.go.kr)에 게시하고 앞으로 국민안전 통계정보를 지속적으로 발굴해 적극적으로 공유해 나간다는 방침이다.
저작권자 © 안전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