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2월 17일 138명의 사상자를 낸 경주 리조트 참사를 계기로 대학교 오리엔테이션(OT)의 풍속도가 달라지고 있다.
상당수의 대학들은 외부에서 합숙하던 OT형식을 교내에서 진행하는 방식으로 전환했다. 또 기존에는 OT를 총학생회에서 주관했지만 최근에는 학교가 주관하거나 공동주관하는 등 안전문제에 각별히 유의하고 있다.
특히 외부에서 OT를 갖는 대학들은 합숙장소를 사전 답사하고, 교직원과 함께 안전교육을 실시하는 등 안전을 최우선 방침으로 내세우고 있다.
◇‘외부’에서 ‘교내’로, ‘학생회’ 에서 ‘학교’주관으로 전환
동덕여자대학교는 매년 외부로 떠나던 OT를 지난해에 이어 올해도 취소했다. 2013년까지만 해도 교내에서 신입생들의 학교생활 적응을 돕기 위한 교육OT를 진행하고 2박3일 동안 합숙 수련회를 떠났었는데, 이제는 사라진 풍경이 돼버렸다.
동덕여대의 한 관계자는 “지난해 경주 리조트 참사 후 학생들과 협의하여 OT를 취소한 바 있다”라며 “올해도 안전문제를 고려해 교내에서 단과대별로 환영행사를 진행하기로 했다”고 말했다.
서울대학교는 지난달 13일 교내에서 OT를 진행했다. 서울대가 교내OT를 실시한 것은 2012년 이후 처음이다. 이 역시 경주 리조트 사고가 큰 영향을 미쳤다.
중앙대학교도 ‘교내 당일 진행’을 기본원칙으로 삼아 OT를 실시한다. 다만 각 단과대학별로 프로그램 구성상 당일 실시가 어려운 경우 입학식을 서울 또는 안성캠퍼스에서 열고, OT는 안성캠퍼스에서 1박 2일로 진행하는 안을 마련했다.
학생 주관으로 외부로 OT를 떠났던 관행도 바뀌고 있다. 대표적으로 건국대학교는 올해부터 총학생회가 아닌 단과대학 학장과 교수들이 주축이 되는 OT를 준비하고 있다. 한양대학교도 지난해부터 합숙 건물안전 점검과 소방안전 등 안전관리를 강화하기 위해 각 단과대 학장 주관 하에 OT를 실시하고 있다.
한양대의 한 관계자는 “OT는 목적에 맞도록 안전하게 진행하고, MT는 학생들이 자율적으로 주관하기로 합의했다”고 전했다.
◇사전답사 통해 OT장소 안전점검 실시
교외로 합숙 OT를 떠나는 대학들은 안전사고가 발생하지 않도록 안전문제에 대한 조치를 강화했다. 고려대학교는 외부로 OT를 떠나기 전에 교내에서 안전교육을 실시하고, 이동하는 버스 안에서는 서울 성북소방서가 제공하는 안전 관련 동영상을 시청할 예정이다. 또 미리 현장에 도착한 교직원들이 행사 전에 이중으로 안전점검을 시행한다.
숙명여자대학교는 합숙장소에서의 음주는 1인당 1캔으로 제한했다. 또 학생지원팀 직원이 현장 진행요원과 학과별 학생회, 교직원들을 대상으로 2회에 걸쳐 입학식 안전관리방안, 버스이동시 안전수칙 등 사전 안전교육을 진행했다. 이와 함께 담당자는 합숙장소의 사전답사를 통해 내부도면 및 전체일정 공유, 주차 및 객실안전상태 점검, 강당환경 점검, 응급처치함 및 구급요원 상주여부 등을 확인했다.
상당수의 대학들은 외부에서 합숙하던 OT형식을 교내에서 진행하는 방식으로 전환했다. 또 기존에는 OT를 총학생회에서 주관했지만 최근에는 학교가 주관하거나 공동주관하는 등 안전문제에 각별히 유의하고 있다.
특히 외부에서 OT를 갖는 대학들은 합숙장소를 사전 답사하고, 교직원과 함께 안전교육을 실시하는 등 안전을 최우선 방침으로 내세우고 있다.
◇‘외부’에서 ‘교내’로, ‘학생회’ 에서 ‘학교’주관으로 전환
동덕여자대학교는 매년 외부로 떠나던 OT를 지난해에 이어 올해도 취소했다. 2013년까지만 해도 교내에서 신입생들의 학교생활 적응을 돕기 위한 교육OT를 진행하고 2박3일 동안 합숙 수련회를 떠났었는데, 이제는 사라진 풍경이 돼버렸다.
동덕여대의 한 관계자는 “지난해 경주 리조트 참사 후 학생들과 협의하여 OT를 취소한 바 있다”라며 “올해도 안전문제를 고려해 교내에서 단과대별로 환영행사를 진행하기로 했다”고 말했다.
서울대학교는 지난달 13일 교내에서 OT를 진행했다. 서울대가 교내OT를 실시한 것은 2012년 이후 처음이다. 이 역시 경주 리조트 사고가 큰 영향을 미쳤다.
중앙대학교도 ‘교내 당일 진행’을 기본원칙으로 삼아 OT를 실시한다. 다만 각 단과대학별로 프로그램 구성상 당일 실시가 어려운 경우 입학식을 서울 또는 안성캠퍼스에서 열고, OT는 안성캠퍼스에서 1박 2일로 진행하는 안을 마련했다.
학생 주관으로 외부로 OT를 떠났던 관행도 바뀌고 있다. 대표적으로 건국대학교는 올해부터 총학생회가 아닌 단과대학 학장과 교수들이 주축이 되는 OT를 준비하고 있다. 한양대학교도 지난해부터 합숙 건물안전 점검과 소방안전 등 안전관리를 강화하기 위해 각 단과대 학장 주관 하에 OT를 실시하고 있다.
한양대의 한 관계자는 “OT는 목적에 맞도록 안전하게 진행하고, MT는 학생들이 자율적으로 주관하기로 합의했다”고 전했다.
◇사전답사 통해 OT장소 안전점검 실시
교외로 합숙 OT를 떠나는 대학들은 안전사고가 발생하지 않도록 안전문제에 대한 조치를 강화했다. 고려대학교는 외부로 OT를 떠나기 전에 교내에서 안전교육을 실시하고, 이동하는 버스 안에서는 서울 성북소방서가 제공하는 안전 관련 동영상을 시청할 예정이다. 또 미리 현장에 도착한 교직원들이 행사 전에 이중으로 안전점검을 시행한다.
숙명여자대학교는 합숙장소에서의 음주는 1인당 1캔으로 제한했다. 또 학생지원팀 직원이 현장 진행요원과 학과별 학생회, 교직원들을 대상으로 2회에 걸쳐 입학식 안전관리방안, 버스이동시 안전수칙 등 사전 안전교육을 진행했다. 이와 함께 담당자는 합숙장소의 사전답사를 통해 내부도면 및 전체일정 공유, 주차 및 객실안전상태 점검, 강당환경 점검, 응급처치함 및 구급요원 상주여부 등을 확인했다.
저작권자 © 안전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