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토부 “항구적인 교통안전문화 정착 위해 안전활동 더욱 강화”
대형 연쇄 추돌사고 막기 위한 맞춤형 예방대책 강구 지난해 교통사고 사망자 수가 1978년 이후 처음으로 4000명대에 진입했다.
국토교통부는 2014년 교통사고 사망자수가 전년(5092명)보다 330명 감소한 4762명으로 집계됐다고 12일 밝혔다. 포니자동차 등 개인 승용차의 대중화 초창기였던 1978년(5114명)이후 가장 낮은 수준이다.
국토부는 ‘교통사고 사상자 줄이기 종합대책(2013년 7월 발표)’을 집중적으로 추진한 것이 이같은 성과로 이어졌다고 분석하고 있다.
각종 안전 수치도 대부분 상승했다. 대표적인 예로 안전띠 착용률은 2012년 68.70%에서 지난해 77.92%로 9.22%p 상승했으며, 블랙박스나 스마트폰을 활용한 공익신고 접수도 2012년 12만7506건에서 지난해 44만2968건으로 3.2배나 증가했다.
국토부는 이같은 성과에 만족하지 않고 앞으로 사고 예방활동을 더욱 강화해나간다는 방침이다. 비록 교통사고 사망자는 줄어들었지만, 우리나라의 교통안전수준이 여전히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국가 중 최하위 수준을 면치 못하고 있는 것이 그 배경이다.
이와 함께 교통안전을 일상적 위험으로 간주하는 사회인식이 만연하고, 뒷좌석 안전띠 착용 등 가장 기초적인 실천 역시 매우 부족하다는 점도 국토부의 강경 정책에 상당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
◇노인 등 취약계층 보호에 중점
국토부는 올해 교통사고 사망자수 4500명 이하를 목표로 노인보호구역 확대 등 안전한 교통환경 조성에 주력한다는 계획이다.
특히 국토부는 노인 등 취약계층 보호에 중점을 두고 있다. 국토부에 따르면 우리나라 고령 인구비율은 12.2%(2013년 기준) 인데 비해, 고령자 교통사고 사망자 비율은 전체의 38%나 차지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때문에 국토부는 노년층의 교통안전을 위해 ▲노인보호구역에 과속 단속장비 등 안전시설 확충 ▲국도 내 마을 인접 구간에 빌리지존(Village Zone) 지정 ▲전좌석 안전띠 착용 연내 법제화 ▲고령 운전자 적성검사 도입 등을 추진할 예정이다.
또한 국토부는 최근 잇따른 대형 연쇄 추돌사고와 관련해 사고의 원인과 문제점을 철저히 규명하고, 그에 따른 맞춤형 예방대책도 강구할 방침이다.
서승환 국토부 장관은 “교통사고 사망자수가 37년 만에 5000명 이하로 감소한 것은 매우 획기적인 성과”라면서도 “하지만 OECD 선진국 수준의 교통안전을 위해서는 여전히 개선해야 할 점이 많다”고 말했다.
이어 “올해에는 교통사고 사망자수를 4500명 이하로 만들기 위해 예년에 비해 강도 높은 교통안전 예방활동을 추진해 국민들이 보다 안심할 수 있는 교통환경을 조성해나갈 것”이라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안전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