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노선에 E-PASS 시스템 적용
앞으로 고속버스도 승차권 없이 바로 탑승할 수 있게 된다. 국토교통부와 전국고속버스운송사업조합은 오는 3월 2일부터 고속버스 153개 전 노선을 대상으로 ‘E-PASS(고속버스 다기능통합단말기)’서비스를 운영한다고 지난달 27일 밝혔다. 앞서 국토부는 지난해 12월부터 3개월간 시범운영을 거쳤다.
참고로 E-PASS는 고속버스 차량 내 설치된 단말기를 통해 승차권 발권, 교통카드·신용카드 결제, 도착 안내 등 정보 제공이 가능한 시스템이다.
그 동안 고속버스를 이용하기 위해서는 늦어도 1시간 이전에 인터넷·스마트폰 등을 통해 예약을 하고, 터미널에 도착해 매표소에서 다시 발권하는 번거로운 절차를 거쳐야 했다. 예약을 못한 경우 터미널에서 발권이 지연되는 바람에 눈앞에서 차량을 놓치는 일이 빈번히 발생했다.
E-PASS 시스템이 본격 운영되면 인터넷·스마트폰을 통한 실시간 예매 및 발권이 가능해져 추가발권 없이 홈 티켓이나 모바일 티켓만으로 원하는 버스에 바로 탑승할 수 있다. 예약을 하지 못한 경우에도 좌석이 남아있다면 차량 내 설치된 단말기에 선·후불 교통카드나 신용카드를 태그해 즉시 발권 후 탑승이 가능하다.
또 차량 내 승객과 터미널 대기 승객에 대한 서비스 수준도 높아질 전망이다. E-PASS 시스템은 차량 내부 뿐 아니라 터미널에서도 실시간 이동경로정보와 도착 및 지연 정보를 제공해, 차량의 정확한 도착 시간을 예측할 수 있도록 한다.

터미널에서 대기하고 있는 승객은 터미널 안내장치, 스마트폰 어플을 통해 버스의 현재 이동경로와 도착예정 시간 등의 정보를 제공받아 대기시간을 절약할 수 있게 된다.
국토교통부의 한 관계자는 “향후 일반 시외버스 등에도 이러한 서비스가 가능하도록 점진적으로 확대하겠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안전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