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2015년 교통사고 줄이기 대책’ 발표

서울시가 교통사망사고의 주원인인 무단횡단을 근절하기 위한 다양한 대책을 내놓았다.
서울시는 ‘무단횡단 방지시설’을 주요지점에 설치하는 한편 올 상반기 중 ‘교통사망사고 경보제도’를 시행한다는 내용을 담은 ‘2015년 교통사고 줄이기 대책’을 지난 9일 발표했다.
서울시에 따르면 지난해 12월부터 지난 1월까지 발생한 시내 교통사고 70건을 분석한 결과, 사망사고의 절반 이상이 18시~6시 사이 보행 중에 일어난 것으로 집계됐다.
시는 이 같은 분석결과를 토대로 사망사고 감소를 위해 우선 무단횡단 단속을 시행할 예정이다. 이에 따라 서울지방경찰청은 편도 2차로 이상 주요 간선도로, 교통사고 사망자 다발지점 등에서 지난달 22일부터 한달간 무단횡단 단속에 돌입했다. 또 사고가 자주 일어나는 곳에 울타리 등 무단횡단 예방시설을 설치하기로 했다.
아울러 시는 다음 달부터 종로2가, 신림역 주변 등 시내 횡단보도 100여곳에는 보행자가 차가 오는 방향을 확인토록 유도하는 ‘눈동자’를 그려 넣을 계획이다. 이는 최근 해외에서 유행하고 있는 ‘LOUD 프로젝트’(Look Over our community, Upgrade Daily life)의 일종으로, 공공장소에 교통·환경 등 의미가 담긴 메시지를 표시해 시민의식과 행동변화를 유도하는 방법이다.
교통사고 다발지에 대한 개선작업도 추진된다. 시는 최근 3년간 교통사고가 자주 발생한 ▲흥인지문사거리 ▲강남역교차로 ▲구로전화국교차로 등 35곳에는 정지선 변경, 유도선 보강 등 무단횡단으로 인한 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시설을 설치한다.
이와 함께 사망사고가 발생한 지점은 신고 즉시 출동해 사고원인을 분석하고, 개선 규모에 따라 3개월에서 1년 이내에 문제요인을 제거해 유사한 사고가 재발을 막는다는 방침이다.
이외에도 시는 사망자를 유발하는 교통사고를 체계적으로 관리하고 즉각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상반기 중으로 ‘교통사망사고 경보제’를 시행하기로 했다. 교통사망사고 경보제는 사망사고 발생건수가 최근 3년간 같은 기간 평균보다 많을 경우 발령되며, 단계별 시나리오에 따른 시행계획을 수립하게 된다.
또 시는 습관적인 무단횡단에 경각심을 주기 위해 경찰에 요청해 대대적인 무단횡단 단속을 병행키로 했다.
시의 한 관계자는 “교통사고 예방은 시설·시스템 보완 이전에 문화적인 개선이 선행돼야 한다”라며 “교통법규 위반이 부끄러운 행동이라는 사회적 분위기가 형성돼 올해는 교통사고가 획기적으로 줄어들길 바란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안전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