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림청이 산림사업현장에서의 안전사고를 줄이기 위한 대대적인 재해예방활동을 전개한다.
지난 9일 산림청은 안전교육 및 현장 사고예방활동을 강화하는 가운데, 안전보건공단 등 관련 기관과의 협력체계를 구축한다고 밝혔다.
산림청은 그간의 안전활동이 산발적으로 추진돼 시너지효과를 극대화하는데 한계가 있다고 판단, 앞으로는 재해율 최소화, 산림사업장 무재해운동, 안전사고 발생 위험지수 예고제 운영 등 체계적인 기본방향을 설정하여 추진할 계획이다.
이와 함께 안전보건공단에 의뢰하여 해빙기 관련 안전교육을 진행하고, 자체 특별교육도 수시로 실시할 방침이다. 특히 사고 위험을 낮추기 위해 작업 전 충분한 준비 운동을 실시하는 한편 철저한 사업장 사전 점검을 통한 안전사고 예방에 총력을 기울일 계획이다.
이처럼 산림청이 안전활동을 대폭 강화하는 이유는 최근 농·산촌 인구의 감소와 고령화, 숲가꾸기 사업량 및 고성능 임업기계장비의 사용증가 등으로 산림사업지에서의 사고 발생 가능성이 크게 높아졌기 때문이다.
더불어 최근 발생한 사고의 원인 중 대부분이 안전거리 미확보 및 위험지역 표시 미실시, 이동 중 미끄러짐 등 부주의에 기인한 것으로 나타남에 따라 작업자들의 안전의식을 개선하기 위한 목적도 담겨있다.
산림청의 한 관계자는 “무재해 목표달성 현황을 상시 기록하고 사업발주처, 사업주, 근로자가 무재해 운동에 적극 참여하도록 유도할 것”이라고 말했다.
지난 9일 산림청은 안전교육 및 현장 사고예방활동을 강화하는 가운데, 안전보건공단 등 관련 기관과의 협력체계를 구축한다고 밝혔다.
산림청은 그간의 안전활동이 산발적으로 추진돼 시너지효과를 극대화하는데 한계가 있다고 판단, 앞으로는 재해율 최소화, 산림사업장 무재해운동, 안전사고 발생 위험지수 예고제 운영 등 체계적인 기본방향을 설정하여 추진할 계획이다.
이와 함께 안전보건공단에 의뢰하여 해빙기 관련 안전교육을 진행하고, 자체 특별교육도 수시로 실시할 방침이다. 특히 사고 위험을 낮추기 위해 작업 전 충분한 준비 운동을 실시하는 한편 철저한 사업장 사전 점검을 통한 안전사고 예방에 총력을 기울일 계획이다.
이처럼 산림청이 안전활동을 대폭 강화하는 이유는 최근 농·산촌 인구의 감소와 고령화, 숲가꾸기 사업량 및 고성능 임업기계장비의 사용증가 등으로 산림사업지에서의 사고 발생 가능성이 크게 높아졌기 때문이다.
더불어 최근 발생한 사고의 원인 중 대부분이 안전거리 미확보 및 위험지역 표시 미실시, 이동 중 미끄러짐 등 부주의에 기인한 것으로 나타남에 따라 작업자들의 안전의식을 개선하기 위한 목적도 담겨있다.
산림청의 한 관계자는 “무재해 목표달성 현황을 상시 기록하고 사업발주처, 사업주, 근로자가 무재해 운동에 적극 참여하도록 유도할 것”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안전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