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장인 생활백서
우리나라 직장인의 근로시간이 긴 것은 세계적으로 유명하다. OECD 통계에 잡히기 시작한 지난 2000년부터 8년간 OECD 국가 가운데 부동의 1위를 차지한 바 있고, 2008년 멕시코에 1위를 내준 이후 지금까지도 줄곧 2위를 기록하고 있을 정도다. 취업포털 사람인은 이처럼 장시간 근무하는 우리나라 직장인 1964명을 대상으로 이들의 하루를 조사한 결과를 최근 발표했다.
우선 아침 기상시간을 조사한 결과, 평균 아침 6시 36분에 기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후 주로 지하철(39%, 복수응답)과 버스(38.2%)를 타고 44분이 걸려 회사에 도착한다.
출근시간은 ‘8시 30분~9시’(39.1%)가 가장 많았다. 그 외에는 ‘8시~8시 30분’(26.6%), ‘7시 30분~8시’(14.8%) 등의 순이었다.
출근해서 가장 먼저 하는 일로는 ‘이메일 확인’이 29.1%로 첫 번째로 꼽혔다. 다음으로 ‘커피 등 차 마시기’(13.8%), ‘곧바로 업무 시작’(13.1%), ‘사무실 청소’(12.7%), ‘스케줄 확인 및 계획’(10.4%) 등이 뒤를 이었다.
점심은 대부분 ‘구내식당’(43.6%)에서 먹거나 ‘회사근처 식당’(37.7%)에서 해결하고 있었다. 이때 들어가는 비용은 ‘5000~1만원’(38.7%) 수준이 많았다. 평균으로 볼 때는 5346원이었다.
업무 중 빠지지 않는 ‘회의’는 일주일을 기준으로 평균 2.2회 참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는 ‘1회’(52.4%), ‘2회’(18.5%), ‘3회’(12.7%), ‘5회’(5.7%) 등이었다.
하루 중 집중이 가장 잘되는 시간은 ‘오전 10~11시’(42.8%)이었고, 반대로 업무 집중이 가장 안 되는 시간은 점심시간 이후인 '오후 2~3시’(23%)였다.
직장인이 하루 중 가장 기다리는 퇴근시간에도 업무를 마치지 못하고 ‘9시 이후’에나 퇴근하는 사람이 29.2%에 달했고, 절반가량(48.8%)은 ‘7시 이후’에 퇴근하고 있었다. 결국 하루 평균 10시간 55분 정도를 회사에서 보내고 있는 셈이다.
퇴근 이후에는 대다수가 ‘TV를 본다’(58.7%, 복수응답)고 대답했고, ‘지인과 만남’(30%), ‘인터넷 서핑’(28%), ‘운동’(23.5%), ‘육아·집안일’(13.5%) 등을 하고 있었다.
마지막으로 취침시간은 주로 ‘12~1시’(38.7%)와 ‘11~12시’(34.3%)였고, 이밖에 ‘1~2시 이전’(13.5%), ‘10~11시 이전’(9.5%) 등도 있었다.
저작권자 © 안전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