악화 주범 ‘먼지와 환기부족’… 환기설비 설치하면 개선 가능
어린이집의 실내공기질 수준에 대해 ‘좋다’고 생각하는 현장조사 전문가는 10명 중 2명에 불과한 것으로 파악됐다. 서울연구원은 지난 1일 ‘서울시 복지시설의 실내 공기질 관리방안 연구’ 보고서를 통해 현장조사 전문가가 느끼고 있는 어린이집 실내 공기질 수준을 발표했다. 이번 조사는 국공립연구원, 대학연구소, 시민단체 등에 소속돼 어린이집의 실내 공기질을 현장조사한 경험이 있는 27명의 경험자 또는 전문가를 대상으로 진행됐다.
보고서에 따르면 대다수의 현장조사 전문가들은 어린이집의 실내 공기질이 ‘보통’(59.3%)이라고 대답했다. 다음으로는 ‘좋다’(22.2%), ‘나쁘다’(18.5%) 등으로 나타나 긍정적인 평가가 많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관리수준에 대한 질문에도 ‘보통’이라는 응답이 73.1%로 가장 많았고, ‘잘 된다’(19.2%), ‘잘 안 된다’(7.7%) 등으로 집계됐다. 이는 전문가들이 생각하기에 어린이집의 실내 공기질 관리가 잘되는 경우가 많지 않음을 의미한다.
어린이집의 실내 공기질을 악화시키는 원인으로는 ‘먼지와 환기부족’이 59.3%로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했고, ‘건축자재 및 마감재’(51.9%), ‘연소시설과 잘못된 건물설계’(40.7%), ‘교구 및 놀이비품과 오염된 외부공기 유입’(37%) 등의 순으로 이어졌다.
어린이집 실내 공기질 개선을 위해 필요한 사항으로는 ‘환기 설비설치’가 81.5%로 가장 많이 꼽혔고, 이어서는 ‘설계변경’(44.4%), ‘실내 공기질 관리 교육’(29.6%), ‘건축마감재 교체’(18.5%) 등의 순이었다.
한편 어린이집 보육교사나 관리자들을 대상으로 실내공기 관련 지식수준을 조사한 결과 ‘잘 모른다’는 응답이 48.1%로 대다수를 차지했고, ‘대체로 안다’는 응답은 18.5%에 불과했다.
어린이집에 실내공기 관련 매뉴얼이 제공될 필요가 있는가에 대한 질문에는 ‘필요하다’는 응답이 70.3%, ‘불필요하다’는 응답이 7.4%로 매뉴얼 제공의 필요성에 대다수가 공감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서울연구원의 한 관계자는 “어린이집 보육교사나 관리자들의 대부분은 실내공기질 관련 정보를 언론매체나 인터넷을 통해 접하고 있다”라며 “올바르게 실내공기를 관리하기 위한 적절한 교육이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저작권자 © 안전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