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급 낮을수록 자신이 ‘을’이라고 생각해
사회적으로 논란이 끊이질 않고 있는 갑을관계는 함께 일하는 동료들 사이에도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취업포털 사람인이 직장인 796명을 대상으로 ‘사내 갑을관계 존재 여부’를 주제로 조사한 결과 87.2%가 ‘있다’라고 대답했다.
회사 내에서 갑을관계를 결정하는 요소로는 ‘직급’(65.7%, 복수응답)이 1위를 차지했다. 다음으로 ‘부서 및 업무 특성’(38.9%), ‘사내정치, 연줄’(25.4%), ‘장기근속 여부’(19%), ‘나이’(17%), ‘인맥 등 네트워크’(12.4%) 등의 답변이 이어졌다.
이와 관련해 직장인들이 스스로를 ‘갑’과 ‘을’ 가운데 어느 쪽에 가깝다고 생각하고 있는지를 물었더니 대다수가 ‘을에 가깝다’(92.5%)라고 응답했다. 특히 직급별로는 ‘사원급’ 97.3%, ‘대리급’ 89.6%, ‘과장급’ 83.7%, ‘부장급 이상’ 77.4% 등으로 응답해 직급이 낮을수록 자신이 을이라고 생각하는 비율이 높았다.
자신이 을이라고 생각하는 이유로는 ‘지시를 따라야 하는 상황이 많아서’(69.6%)가 가장 많이 꼽혔고, ‘회사에서 발언권이 적어서’(30.8%), ‘이유 없는 야근 및 잡일이 많아서’(26.5%), ‘소속 부서의 사내 영향력이 적어서’(22.9%), ‘수익 창출과 직접적 연관이 없는 업무라서’(15.3%) 등의 답변이 이어졌다.
자신에게 갑질을 하는 존재로는 ‘직속상사’(34.9%)라는 답변이 가장 많았고, ‘CEO’(26.3%), ‘오너 일가’(12.5%), ‘관리 부서원’(8.1%), ‘타 부서 선배’(4.4%) 등의 순이었다.
한편 이 같이 을의 입장에서 근무하는 것으로 인해 ‘직장생활에 부정적인 영향을 받고 있다’고 밝힌 직장인은 95.5%에 달했다. 부정적 영향으로는 ‘이직을 고민하게 된다’(69.2%), ‘근무 의욕이 떨어진다’(65.7%), ‘애사심이 줄어든다’(53.8%), ‘스트레스로 업무에 지장이 생긴다’(53%) 등이 있었다.
저작권자 © 안전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