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인시간에 운동·낮잠·문화생활 등 원해
직장인의 절반 이상은 자율출퇴근제 시행을 원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율출퇴근제란 하루 4시간 근무를 기본으로 주 40시간 이내에서 본인이 근무시간을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취업포털 사람인이 직장인 1318명을 대상으로 자율출퇴근제 시행에 대한 설문조사를 진행한 결과 응답자의 67.2%가 ‘자율출퇴근제 시행을 원한다’고 대답했다.
직급별로 살펴보면 ‘사원급’(69.8%)이 가장 이를 선호하고 있었고, ‘대리급’(67.5%), ‘과장급’(67.1%), ‘부장급 이상’(50.9%) 순으로 집계돼, 직급이 낮을수록 자율출퇴근제를 더 많이 원하고 있었다.
그 이유로는 ‘시간의 활용도가 높아질 것 같아서’(64.8%, 복수응답)를 첫 번째로 꼽았다. 계속해서 ‘컨디션에 맞춰 근무할 수 있어서’(51.7%), ‘교통체증 시간을 피할 수 있어서’(36.7%), ‘업무 몰입도가 증가할 것 같아서’(36.1%), ‘나만의 시간을 가질 수 있어서’(33.9%) 등의 응답이 이어졌다.
자율출퇴근제로 생기는 개인 시간에는 ‘운동’(46%)을 하고 싶다는 응답이 가장 많았고, ‘늦잠 등 휴식’(43.8%), ‘병원 등 볼일’(36.1%), ‘문화생활’(35.1%), ‘외국어 공부’(32.8%), ‘업무관련 공부’(23.7%), ‘가족과의 시간’(23.1%) 등의 순이었다.
원하는 출근시간으로는 절반 이상이 ‘10시’(51%)를 선택했고, 이외에 ‘11시’(12.6%), ‘9시’(11.7%), ‘7시’(8.6%) 등의 순으로 늦게 출근하기를 원하는 비중이 높았다.
하지만 실제 자율출퇴근제를 실시하는 기업에 재직 중인 응답자(70명) 중 ‘본인이 원하는 시간에 출퇴근’을 하는 경우는 58.6%에 불과했다. 심지어 41.4%는 ‘규정된 근무시간을 초과해 근무’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저작권자 © 안전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