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대 기업 평균 1.9%에 불과
장애인 의무고용사업체 중 의무고용률을 달성한 기관은 채 절반이 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고용노동부는 장애인 의무고용 사업체(국가·자치단체, 상시근로자 50인 이상의 공공기관, 민간기업) 2만7488곳을 대상으로 지난 1월까지 장애인 고용현황을 조사한 결과를 지난 22일 발표했다.
이에 따르면 장애인 의무고용 사업체에서 근무하는 장애인 근로자는 15만8388명으로 장애인 고용률은 2.54%로 나타났다. 이는 전년에 비해 0.06%p 상승한 수치로, 장애인 의무고용 사업체의 장애인 고용률은 2011년 2.28%에서 2012년 2.35%, 2013년 2.48%, 2014년 2.54% 등으로 지속적으로 상승하고 있다.
문제는 의무고용률을 달성한 기관은 1만3227곳으로 전체 의무고용사업체의 48.1%에 불과하다는 것이다.
참고로 상시근로자 50인 이상 민간기업의 경우 2.7%, 국가·자치단체 공무원과 공공기관은 3.0%의 장애인 의무고용율을 준수해야 한다.
하지만 지난해 국가·자치단체의 경우 장애인 공무원은 1만9553명으로 2.65%의 고용률을 기록했다. 공공기관의 장애인 근로자는 1만604명(2.91%)으로 조사됐으며, 민간기업의 경우 장애인 근로자는 12만910명(2.45%)으로 집계됐다.
특히 민간기업 중에서는 30대 기업집단의 장애인 고용률이 1.9%에 그쳐 평균보다 훨씬 낮았다.
고용부의 한 관계자는 “장애인 고용률이 저조한 기관들을 대상으로 5개월 간 고용을 유도할 것”이라며 “이후에도 장애인 고용이 저조할 경우 오는 10월 명단을 공표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저작권자 © 안전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