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고용정보원 ‘2015 한국직업전망’서 미래 직업세계 트렌드 예측

10년 후 유망직업으로 산업안전 관리원, 기계공학기술자, 소프트웨어 개발자 등이 부각된 반면, 교사, 사진가, 용접원 등의 수요는 줄어들 것으로 예측됐다.
한국고용정보원은 10년 후 직업세계 트렌드를 예측하고 196개 국내 주요 직업의 일자리 증감 여부를 전망한 ‘2015 한국직업전망’을 최근 발간했다고 밝혔다.
이에 따르면 우리나라 196개 주요 직업 가운데 10년 후에 일자리가 늘어날 직업은 ▲산업안전 및 위험 관리원 ▲행사기획자 ▲상담전문가 ▲기계공학기술자 ▲응용소프트웨어개발자 ▲경영컨설턴트 등 96개이다.
10년 후에도 현재 일자리를 유지할 것으로 전망되는 직업은 ▲시각디자이너 ▲통신공학기술자 ▲투자 및 신용 분석가 ▲감정평가전문가 등 68개인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증권 및 외환중개인 ▲용접원 ▲사진가 ▲상품판매원 ▲초중등 교사 등 32개 직업은 10년 후에 일자리가 지금보다 줄어들 것으로 예측됐다.
이와 함께 고용정보원은 향후 10년간 우리나라 직업세계에 나타날 ‘10대 트렌드’를 분석·발표했다.
자세한 내용을 살펴보면 고용정보원은 엔지니어 및 전문직의 고용이 증가하고 전문화될 것으로 전망했다. 로봇, 의료·정밀기기, 3D프린터 등 첨단 분야의 기술·제품개발 경쟁, 특수산업용 기계 및 금속공작·가공기계 분야 등 시장규모가 성장함에 따라 관련 엔지니어 및 전문직에서의 고용도 증가할 것으로 내다봤다.
또 향후 10년간 환경 및 신재생에너지 관련 직종의 고용이 증가한다는 전망도 나왔다. 환경개선 및 생태복원, 태양광·풍력 등 신재생에너지에 대한 관심이 커진다는 분석이다.
이외에도 ▲창조산업 관련 직종의 고용 증가 ▲미용 및 건강 관련 직종의 고용 증가 및 전문화 ▲안전과 치안, 보안 관련 직종의 고용 증가 ▲개인서비스 및 반려동물 관련 직종의 고용 증가 및 전문화 ▲저출산 및 고령화에 따른 직업구조 변화 등이 미래 트렌드로 꼽혔다.
고용정보원의 한 관계자는 “직업세계의 변화를 예측하고 준비하는 것은 청소년이나 구직자, 근로자에게 매우 중요하다”라며 “이번에 발표된 2015 한국직업전망을 통해 미래 직업세계의 변화를 파악하고 이를 바탕으로 자신에게 맞는 진로를 설정하는데 도움을 받았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안전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