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장인 10명 중 7명은 월급을 체불 당한 경험이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취업포털 사람인이 직장인 1164명을 대상으로 ‘월급을 체불 당한 경험 여부’를 조사한 결과 67.4%가 ‘있다’고 응답했다. 이들 가운데 22.9%는 ‘현재도 월급이 밀려있는 상태’인 것으로 나타났다.
월급을 체불한 기업으로는 ‘중소기업’(91.5%, 복수응답)이 가장 많았고, 업종별로는 ‘제조’(18.2%), ‘건설’(16.6%), ‘정보통신·IT’(15%) 등의 순으로 조사됐다.
임금을 체불 당한 기간은 평균 3개월, 체불액은 평균 455만원으로 집계됐다.
임금체불로 인한 폐해는 막대했다. 응답자의 97.2%가 ‘어려움을 겪었다’고 대답한 것이다. 구체적인 사유로는 ‘심적인 고통’(61.9%)을 첫 번째로 꼽았고, ‘생계의 위협 느낌’(59.6%), ‘이자 등을 연체’(37.5%), ‘고정저축 및 적금 불납’(37.4%), ‘스트레스로 인한 발병’(25.2%), ‘현금서비스 받음’(23.1%) 등으로 조사됐다.
특히 임금 체불로 느낀 스트레스의 정도는 ‘일할 의욕이 사라지는 수준’이 74.7%로 가장 많았다. 이어서는 ‘일에 대한 집중력이 떨어지는 수준’(22.3%), ‘별다른 이상이 없는 수준’(3.1%) 등이었다.
한편 임금 체불을 당한 후의 대처 여부에 대해 조사한 결과, 체불 경험이 있는 직장인 중 69%가 ‘대응을 했다’고 응답했다. 이들은 주로 ‘고용노동부 등에 신고’(59.8%)하거나 ‘사장에게 직접 달라고 요구’(57.4%)했다.
또 임금 체불로 인해 절반 이상(58.7%)이 ‘해당 회사를 퇴사했다’고 밝혔지만, ‘퇴사하면서 체불된 임금을 모두 받았다’는 응답은 26.9%에 불과했다.
취업포털 사람인이 직장인 1164명을 대상으로 ‘월급을 체불 당한 경험 여부’를 조사한 결과 67.4%가 ‘있다’고 응답했다. 이들 가운데 22.9%는 ‘현재도 월급이 밀려있는 상태’인 것으로 나타났다.
월급을 체불한 기업으로는 ‘중소기업’(91.5%, 복수응답)이 가장 많았고, 업종별로는 ‘제조’(18.2%), ‘건설’(16.6%), ‘정보통신·IT’(15%) 등의 순으로 조사됐다.
임금을 체불 당한 기간은 평균 3개월, 체불액은 평균 455만원으로 집계됐다.
임금체불로 인한 폐해는 막대했다. 응답자의 97.2%가 ‘어려움을 겪었다’고 대답한 것이다. 구체적인 사유로는 ‘심적인 고통’(61.9%)을 첫 번째로 꼽았고, ‘생계의 위협 느낌’(59.6%), ‘이자 등을 연체’(37.5%), ‘고정저축 및 적금 불납’(37.4%), ‘스트레스로 인한 발병’(25.2%), ‘현금서비스 받음’(23.1%) 등으로 조사됐다.
특히 임금 체불로 느낀 스트레스의 정도는 ‘일할 의욕이 사라지는 수준’이 74.7%로 가장 많았다. 이어서는 ‘일에 대한 집중력이 떨어지는 수준’(22.3%), ‘별다른 이상이 없는 수준’(3.1%) 등이었다.
한편 임금 체불을 당한 후의 대처 여부에 대해 조사한 결과, 체불 경험이 있는 직장인 중 69%가 ‘대응을 했다’고 응답했다. 이들은 주로 ‘고용노동부 등에 신고’(59.8%)하거나 ‘사장에게 직접 달라고 요구’(57.4%)했다.
또 임금 체불로 인해 절반 이상(58.7%)이 ‘해당 회사를 퇴사했다’고 밝혔지만, ‘퇴사하면서 체불된 임금을 모두 받았다’는 응답은 26.9%에 불과했다.
저작권자 © 안전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