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직장인 10명 중 7명은 퇴근 후 모바일 메신저로 업무 지시를 받아본 적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취업포털 사람인이 스마트폰 메신저를 사용하는 직장인 734명을 대상으로 ‘업무시간 외 모바일 메신저로 업무 연락 받은 경험’을 조사한 결과 68.5%가 ‘있다’라고 답했다.
연락은 ‘퇴근 이후’(78.5%, 복수응답)에 가장 많이 받았으며, ‘주말’(56.1%), ‘연차 등 휴가기간’(45.5%), ‘출근시간 전’(32.4%), ‘점심시간’(27.4%) 등의 순이었다.
연락을 한 사람은 주로 ‘직속 상사’(70.2%)였다. 계속해서 ‘소속 팀 동료’(41%), ‘거래처’(27%), ‘타 부서 직원’(26.2%), ‘CEO’(17.3%), ‘소속 팀 후배’(12.1%) 등으로 이어졌다.
연락 이유로는 ‘업무를 처리하기 위해서’(51.9%)가 1위를 차지했고, ‘긴급한 상황이 발생해서’(41.9%), ‘파일 위치 등 질문이 있어서’(36.2%), ‘개인적 업무를 부탁하기 위해서’(23.7%), ‘내가 처리한 업무에 이슈가 발생해서’(23.3%) 등의 이유가 있었다.
한편 업무시간 외의 연락에 대한 직장인들의 대응방법을 물은 결과, 절반 이상인 64.2%가 ‘무조건 받는다’고 답변했고, ‘골라서 받는다’(29.6%), ‘거의 안 받는다’(4.8%), ‘전혀 받지 않는다’(1.4%) 등의 순이었다.
업무시간 외에도 연락을 받는 이유에 대해서는 ‘어차피 처리해야 할 일이라서’(48%), ‘온 연락을 안 받을 수 없어서’(46.6%), ‘급한 일일 것 같아서’(44.2%), ‘회사 및 업무에 지장을 줄 수 있어서’(40.9%), ‘나중에 변명하기 싫어서’(28.2%) 등을 들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