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4시간 4교대 상황근무…인명피해 우려 지역 2842개소 특별관리
정부가 여름철 풍수해로 인해 인명피해가 발생할 위험이 있는 전국 2800여 개소에 대해 특별관리키로 했다. 국민안전처는 5월 15일부터 10월 15일까지를 ‘여름철 자연재난 대책기간’으로 정하고 비상대응체제에 돌입한다고 밝혔다.
대책기간 동안 안전처는 ▲상황관리 ▲인명보호 ▲시설보호 ▲피해지원 등 중점추진 사항별로 만전을 다한다는 방침이다.
이에 따르면 먼저 안전처는 선제적 상황관리체계를 구축·운영키로 했다. 평소에는 24시간 4교대로 비상근무를 하다가 비상시에는 13개 협업기능별 근무체제로 전환키로 한 것이다. 또 피해가 발생하면 소관 부처별 중앙사고수습본부(중수본)도 즉시 가동된다.
산사태 등으로 인명 피해가 우려되는 지역 2842곳에는 전담관리자를 배치하는 등 취약개소를 특별 관리하기로 했다.
취약시설에 대한 점검·정비 및 예방대책도 추진된다. 안전처는 전국 1797개 배수펌프장의 전기·기계시설 가동 실태를 상시점검하고, 수도권 반지하주택과 지하철 575개 역사의 2953개 출입구에 방수판·자동펌프 등 침수 방지시설을 설치한다는 방침이다.
아울러 집중호우 시 사전통제가 필요한 침수예상도로(432개소)에 대한 긴급통제 체계를 구축·운영하고, 태풍 등 극한기상 시에는 대중교통을 증편·연장 운행하기로 했다.
이재민에 대한 지원도 신속하게 진행한다는 것이 안전처의 계획이다. 안전처는 피해발생 시 7일 이내에 생활안정자금이 지원될 수 있도록 300억원의 재난지금원금을 확보했다.
윤용선 안전처 재난대응정책관은 “24시간 비상상황관리체계를 유지하면서 인명피해 우려 지역에 대한 특별관리에 나서는 등 만반의 대응 태세를 갖출 것”이라며 “자연 재난의 특성상 정부의 대응 만으로는 한계가 있기 때문에 국민 스스로 사전에 대비하고, 안전행동 요령을 숙지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한편 기성청에 따르면 올 여름철 한반도에는 대기불안정에 의해 많은 비가 내릴 가능성이 높고, 기상이변에 따라 국지성 집중 호우나 태풍이 발생하는 등 지역 간 강수량 편차가 클 것으로 예상됐다.
저작권자 © 안전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