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노인 빈곤율 1위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의 빈부격차가 최대치로 벌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한국의 노인 빈곤율이 회원국 가운데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OECD가 21일 발표한 보고서에 따르면 2012년 기준으로 34개 회원국의 부유층 상위 10%의 평균 소득은 빈곤층 하위 10%평균 소득의 9.6배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1980년(7배), 2000년(9배)과 비교해보면 격차가 점점 더 벌어지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를 국가별로 살펴보면 한국이 2013년에 10.1배를 기록해 OECD평균보다 높게 나타났다. 영국과 일본은 약 10배, 미국은 19배를 기록했다.
반면 덴마크, 벨기에, 노르웨이, 독일, 네덜란드 등 서유럽과 북유럽 국가가 5∼6배로 소득 격차가 작았다.
자산격차는 소득격차보다 더 크게 나타났다. 지난 2012년 최상위 1%는 전체 자산의 18%를 보유하고 있었으나, 하위 40%는 고작 3%만 가지고 있었다.
한국은 17세 이하와 18∼25세, 25∼65세 연령대 모두에서 상대적 빈곤율이 OECD 평균보다 낮게 나타났지만, 65세 이상 노인층에서는 상대적 빈곤율이 49.6%로 OECD평균(12.6%)을 크게 초과했다.
OECD의 한 관계자는 “회원국들의 불평등 지수를 조사한 이후 가장 격차가 크게 벌어졌다”면서 “이는 중하위 계층에 대한 자원 투자를 어렵게 만들고, 경제성장에도 악영향을 미치는만큼 각 회원국들은 정부차원에서 대응방안을 마련해야 한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안전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