극심한 청년실업 속 대학가에 자발적 외톨이가 늘어나고 있고 있는 가운데, 이들은 실제 직장 내 대인관계에 어려움을 느끼고 있는 것을 나타났다.
취업포털 사람인이 대졸 이상 직장인 1111명을 대상으로 ‘자발적 외톨이 행동’을 주제로 설문조사한 결과, 응답자의 54.7%가 ‘대학생활 중 자발적 외톨이가 된 경험이 있다’고 대답했다. 또 이들 중 62.8%가 ‘직장에서 대인관계와 관련한 어려움을 느꼈다’고 말했다.
대인관계에서 가장 어려움을 느낀 부분을 물은 결과 ‘상사와 좋은 관계 유지하기’(51%, 복수응답)를 첫 번째로 꼽았다. 이어 ‘업무상 타인에게 싫은 소리 하기’(45%), ‘항상 밝고 적극적인 모습 보여주기’(42.4%), ‘회식 등 사교적 자리에 참석하기’(41.6%), ‘업무 외 일상 대화를 편하게 나누기’(39.3%), ‘업무 관련된 내 의견을 남에게 설득하기’(33.2%) 등의 순으로 조사됐다.
취업을 위한 자발적 외톨이 대학생이 늘어나고 있는 현상에 대한 의견을 물었더니, ‘목표를 위한 영리한 선택으로 바람직하다’(51.1%)고 응답했고, ‘대인관계를 등한시한 어리석은 선택이다’가 48.9%로 양측의 의견이 팽팽히 맞섰다.
이와 관련해 긍정적으로 생각하는 이유의 대다수는 ‘개인에게 있어 우선순위는 다른 거라서’(65.7)였고, ‘남들 시선을 너무 신경 쓸 필요는 없어서’(57.7%), ‘학과행사 등에 불필요한 것들이 많아서’(41.5%) 등의 답변으로 이어졌다.
반면 부정적으로 보는 이유로는 ‘사회성이 결여될 수 있어서’(64.1%)가 가장 많았고, ‘학생 때만 쌓을 수 있는 추억을 잃어서’(53.2%), ‘다양한 경험을 하는 것이 더 중요해서’(47%), ‘개인주의적 사고가 확산되는 것 같아서’(44.8%), ‘나중에 후회할 수도 있어서’(37.9%) 등을 들었다.
한편 응답자의 52.3%는 직장 동료의 대인관계 역량이 떨어지는 것 같다고 느낀 경험이 있는 것으로 집계됐다. 그렇게 느낀 이유로 54.9%가 ‘본인 위주로만 생각하려고 해서’라고 대답했고, ‘남을 배려하지 않고 냉소적으로 말해서’(37.2%), ‘본인의 의사를 잘 전달하지 못해서’(32.2%), ‘일 외에는 편하게 말을 잘 못해서’(28.1%), ‘부탁을 하거나 거절하는 융통성이 부족해서’(26.9%), ‘협업에 대해 어려워해서’(22%), ‘회식 등 사교적인 자리에 적응을 못해서’(21.7%) 등의 순이었다.
취업포털 사람인이 대졸 이상 직장인 1111명을 대상으로 ‘자발적 외톨이 행동’을 주제로 설문조사한 결과, 응답자의 54.7%가 ‘대학생활 중 자발적 외톨이가 된 경험이 있다’고 대답했다. 또 이들 중 62.8%가 ‘직장에서 대인관계와 관련한 어려움을 느꼈다’고 말했다.
대인관계에서 가장 어려움을 느낀 부분을 물은 결과 ‘상사와 좋은 관계 유지하기’(51%, 복수응답)를 첫 번째로 꼽았다. 이어 ‘업무상 타인에게 싫은 소리 하기’(45%), ‘항상 밝고 적극적인 모습 보여주기’(42.4%), ‘회식 등 사교적 자리에 참석하기’(41.6%), ‘업무 외 일상 대화를 편하게 나누기’(39.3%), ‘업무 관련된 내 의견을 남에게 설득하기’(33.2%) 등의 순으로 조사됐다.
취업을 위한 자발적 외톨이 대학생이 늘어나고 있는 현상에 대한 의견을 물었더니, ‘목표를 위한 영리한 선택으로 바람직하다’(51.1%)고 응답했고, ‘대인관계를 등한시한 어리석은 선택이다’가 48.9%로 양측의 의견이 팽팽히 맞섰다.
이와 관련해 긍정적으로 생각하는 이유의 대다수는 ‘개인에게 있어 우선순위는 다른 거라서’(65.7)였고, ‘남들 시선을 너무 신경 쓸 필요는 없어서’(57.7%), ‘학과행사 등에 불필요한 것들이 많아서’(41.5%) 등의 답변으로 이어졌다.
반면 부정적으로 보는 이유로는 ‘사회성이 결여될 수 있어서’(64.1%)가 가장 많았고, ‘학생 때만 쌓을 수 있는 추억을 잃어서’(53.2%), ‘다양한 경험을 하는 것이 더 중요해서’(47%), ‘개인주의적 사고가 확산되는 것 같아서’(44.8%), ‘나중에 후회할 수도 있어서’(37.9%) 등을 들었다.
한편 응답자의 52.3%는 직장 동료의 대인관계 역량이 떨어지는 것 같다고 느낀 경험이 있는 것으로 집계됐다. 그렇게 느낀 이유로 54.9%가 ‘본인 위주로만 생각하려고 해서’라고 대답했고, ‘남을 배려하지 않고 냉소적으로 말해서’(37.2%), ‘본인의 의사를 잘 전달하지 못해서’(32.2%), ‘일 외에는 편하게 말을 잘 못해서’(28.1%), ‘부탁을 하거나 거절하는 융통성이 부족해서’(26.9%), ‘협업에 대해 어려워해서’(22%), ‘회식 등 사교적인 자리에 적응을 못해서’(21.7%) 등의 순이었다.
저작권자 © 안전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