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방제산업 기반조성 및 육성 목적
정부가 해상화학사고에 대비하기 위해 최신 과학기술을 접목한 긴급 현장대응 기술 및 장비개발에 적극 나선다. 국민안전처 해양경비안전본부는 한국과학기술원 재난학연구소 등 5개 기관과 함께 ‘HNS 유출사고 현장 대응기술 및 장비개발 국가R&D 사업’에 본격 착수한다고 26일 밝혔다.
HNS(Hazardous and Noxious Substances)는 해상에서 선박으로 운송하는 벤젠, 황산 등 유해액체물질과 LNG, LPG 등 액화석유가스를 말하며, 그 종류만 6000여종에 달한다.
이같이 HNS는 복합적인 위험을 내재하고 있어 사고발생 시 해상은 물론 육상 주민 및 해양자원 등에 막대한 피해를 줄 수 있다.
하지만 현재까지 우리나라 HNS 사고 대응체계의 경우 육상 화학물질사고 체계가 적용되어 있는 등 적절한 대응에 나서기에 부족함이 많은 것이 사실이다. 따라서 신속하고 효과적인 대응을 위해서는 해상에 적합한 전문 장비 및 기술이 필요한 실정이다.
이번 R&D사업은 △HNS 중점관리물질 선정 및 통합관리 방안 △HNS 사고현장 탐지 및 분석기술 개발 △HNS사고 대응지침 개발 △HNS 물질별 방제 자재·약제 개발 △HNS사고 대응장비 선정 및 시스템 구축 △내화학성 개인보호복 개발 △HNS 유출방지 및 차단기술 개발 등의 7개 과제를 대상으로 2018년까지 진행된다.
국민안전처 관계자는 “최신 대응기술 및 장비체계를 도입함으로써 현장 HNS 사고 대응력을 높이고, 연구성과물은 산업체에 기술이전을 하여 국내 방제산업의 기반조성과 육성에 도움이 되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안전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