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장인 10명 중 4명은 ‘거짓 결근’을 한 경험이 있었으며, ‘월요일’에 가장 많이 결근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취업포털 사람인이 직장인 1892명을 대상으로 ‘거짓말이나 핑계를 대고 출근하지 않은 경험’이 있는지를 조사한 결과, 42.2%가 ‘있다’라고 대답했다.
성별에 따라서는 ‘남성’(43.3%)이 ‘여성’(40.5%)보다 거짓 결근을 한 경험이 더 많았다.
결근한 요일은 ‘월요일’(26.3%)이 가장 많았고, ‘금요일’(20.4%), ‘수요일’(18.8%), ‘화요일’(16.7%), ‘목요일’(13.4%) 등의 순으로 비율이 높았다. 즉, 주말과 함께 연달아 쉬는 경우가 많았던 것이다.
결근을 위해 했던 거짓말 1위는 ‘몸이 아프다’(52.3%)였고, ‘집에 급작스러운 일이 생겼다’(25.4%), ‘가족, 친지 등 경조사가 있다’(9.1%), ‘은행업무 등 중요한 개인용무가 있다’(6.9%) 등의 순이었다.
거짓 결근을 한 이유로는 ‘그냥 쉬고 싶어서’(54.3%, 복수응답)를 첫 번째로 꼽았다. 다음으로 ‘면접 등 이직 관련 일정이 있어서’(35.6%), ‘사실대로 말하면 쉬지 못할 것 같아서’(30.5%), ‘늦잠 잔 김에 더 자고 싶어서’(20.3%), ‘갑자기 급한 일이 생겨서’(15.4%), ‘말 못 할 사정이 있어서’(15.2%), ‘여행 등 놀러 가기 위해서’(13.3%) 등의 응답이 있었다.
이들은 ‘쉬기 전 미리회사에 말하기’(38.4%) 보다는, ‘당일 아침에 급작스럽게 연락’(61.3%)한 것으로 집계됐다.
한편 동료의 거짓 결근에 대한 의견으로는 응답자의 70.8%가 ‘동료의 결근 사유를 거짓말이라고 의심한 적 있다’고 대답했다. 하지만 이에 대해 ‘나도 쉬고 싶기에 이해된다’(49.3%)고 생각하고 있었다.
취업포털 사람인이 직장인 1892명을 대상으로 ‘거짓말이나 핑계를 대고 출근하지 않은 경험’이 있는지를 조사한 결과, 42.2%가 ‘있다’라고 대답했다.
성별에 따라서는 ‘남성’(43.3%)이 ‘여성’(40.5%)보다 거짓 결근을 한 경험이 더 많았다.
결근한 요일은 ‘월요일’(26.3%)이 가장 많았고, ‘금요일’(20.4%), ‘수요일’(18.8%), ‘화요일’(16.7%), ‘목요일’(13.4%) 등의 순으로 비율이 높았다. 즉, 주말과 함께 연달아 쉬는 경우가 많았던 것이다.
결근을 위해 했던 거짓말 1위는 ‘몸이 아프다’(52.3%)였고, ‘집에 급작스러운 일이 생겼다’(25.4%), ‘가족, 친지 등 경조사가 있다’(9.1%), ‘은행업무 등 중요한 개인용무가 있다’(6.9%) 등의 순이었다.
거짓 결근을 한 이유로는 ‘그냥 쉬고 싶어서’(54.3%, 복수응답)를 첫 번째로 꼽았다. 다음으로 ‘면접 등 이직 관련 일정이 있어서’(35.6%), ‘사실대로 말하면 쉬지 못할 것 같아서’(30.5%), ‘늦잠 잔 김에 더 자고 싶어서’(20.3%), ‘갑자기 급한 일이 생겨서’(15.4%), ‘말 못 할 사정이 있어서’(15.2%), ‘여행 등 놀러 가기 위해서’(13.3%) 등의 응답이 있었다.
이들은 ‘쉬기 전 미리회사에 말하기’(38.4%) 보다는, ‘당일 아침에 급작스럽게 연락’(61.3%)한 것으로 집계됐다.
한편 동료의 거짓 결근에 대한 의견으로는 응답자의 70.8%가 ‘동료의 결근 사유를 거짓말이라고 의심한 적 있다’고 대답했다. 하지만 이에 대해 ‘나도 쉬고 싶기에 이해된다’(49.3%)고 생각하고 있었다.
저작권자 © 안전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