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출산 문제가 심각한 가운데 여성 직장인 10명 중 8명은 육아휴직을 사용하는 것에 대해 부담을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취업포털 사람인이 여성 직장인 255명을 대상으로 ‘육아휴직 사용에 대한 부담감’을 주제로 설문조사한 결과 응답자의 80%가 ‘부담을 느낀다’고 대답했다.
부담을 느끼는 이유로는 ‘복귀가 어려울 것 같아서’(65.2%, 복수응답)를 첫 번째로 꼽았다. 뒤이어 ‘회사에서 눈치를 줘서’(44.6%), ‘쉬는 동안 경제적 부담이 커서’(37.7%), ‘동료들에게 불편을 끼쳐서’(33.8%) 등의 순이었다.
이같은 부담감 때문에 미혼 여성 직장인(170명) 중 65.9%는 ‘결혼을 하더라도 출산을 미룰 계획’인 것으로 집계됐다.
출산을 늦추는 이유를 물은 결과 ‘돈을 더 모으고 싶어서’(52.7%)가 가장 많았고, ‘출산으로 인한 경력공백이 부담돼서’(42.9%), ‘신혼을 더 즐기고 싶어서’(42.9%), ‘아이를 맡길 곳이 마땅치 않아서’(37.5%) 등을 들었다. 또 자녀가 없는 기혼 여성 직장인(30명) 중에서도 66.7%가 ‘현재 직장생활 때문에 자녀계획을 뒤로 미뤘다’고 밝혔다.
한편 자녀가 있는 기혼 여성 직장인(55명) 중 실제 ‘출산휴가 및 육아휴직을 사용’한 응답자는 43.6%였다. 하지만 이들 중 41.7%는 법적으로 보장된 기간(출산휴가 90일, 육아휴직 1년)을 다 쓰지 못했다. 이들이 사용한 휴가는 평균 3개월에 그쳤다.
그 이유로는 대다수가 ‘더 쓰면 회사에서 눈치를 줘서’(60%)라고 대답했고, ‘경제적으로 부담돼서’(40%), ‘일을 대신 해줄 사람이 없어서’(30%), ‘다른 직원들도 모두 쓰지 않는 분위기여서’(20%) 등의 응답이 있었다.
취업포털 사람인이 여성 직장인 255명을 대상으로 ‘육아휴직 사용에 대한 부담감’을 주제로 설문조사한 결과 응답자의 80%가 ‘부담을 느낀다’고 대답했다.
부담을 느끼는 이유로는 ‘복귀가 어려울 것 같아서’(65.2%, 복수응답)를 첫 번째로 꼽았다. 뒤이어 ‘회사에서 눈치를 줘서’(44.6%), ‘쉬는 동안 경제적 부담이 커서’(37.7%), ‘동료들에게 불편을 끼쳐서’(33.8%) 등의 순이었다.
이같은 부담감 때문에 미혼 여성 직장인(170명) 중 65.9%는 ‘결혼을 하더라도 출산을 미룰 계획’인 것으로 집계됐다.
출산을 늦추는 이유를 물은 결과 ‘돈을 더 모으고 싶어서’(52.7%)가 가장 많았고, ‘출산으로 인한 경력공백이 부담돼서’(42.9%), ‘신혼을 더 즐기고 싶어서’(42.9%), ‘아이를 맡길 곳이 마땅치 않아서’(37.5%) 등을 들었다. 또 자녀가 없는 기혼 여성 직장인(30명) 중에서도 66.7%가 ‘현재 직장생활 때문에 자녀계획을 뒤로 미뤘다’고 밝혔다.
한편 자녀가 있는 기혼 여성 직장인(55명) 중 실제 ‘출산휴가 및 육아휴직을 사용’한 응답자는 43.6%였다. 하지만 이들 중 41.7%는 법적으로 보장된 기간(출산휴가 90일, 육아휴직 1년)을 다 쓰지 못했다. 이들이 사용한 휴가는 평균 3개월에 그쳤다.
그 이유로는 대다수가 ‘더 쓰면 회사에서 눈치를 줘서’(60%)라고 대답했고, ‘경제적으로 부담돼서’(40%), ‘일을 대신 해줄 사람이 없어서’(30%), ‘다른 직원들도 모두 쓰지 않는 분위기여서’(20%) 등의 응답이 있었다.
저작권자 © 안전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