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기, 강원 등 중부지역에 계속되는 가뭄으로 인해 산불 피해가 늘고 있다. 또 기상청의 장기 가뭄 예보까지 더해져 산불예방에 각별한 주의가 요구되고 있다. 이에 정부가 산불을 예방하기 위해 팔을 걷어 붙였다.
산림청은 중부지역 가뭄으로 산불발생 위험이 높아짐에 따라 봄철 산불방지 특별대책기간을 장마기 이전까지 연장한다고 밝혔다.
당초 봄철 산불조심기간은 2월 15일부터 5월 15일까지였다. 하지만 경기, 강원지역에 건조한 날씨가 계속되면서 5월 16일부터 6월 1일 사이에만 55건의 산불이 발생하는 등 가뭄으로 인한 산불 발생의 우려가 높아지자 산불조심기간의 연장이 불가피하게 됐다.
이에 산림청은 지난 2일 ‘산불대응 긴급 대책회의’를 열고, 경기, 강원 지역 산불 관계관들에게 특별경계령을 발령했다.
산림청은 중부지역 위주로 산불 예방활동과 지원을 강화하는 한편, 산불위험성이 있는 지역에는 산림헬기를 이동배치하고, 유관기관 헬기와 공조체제를 유지할 방침이다. 또 산불 발생 즉시 조사감식반을 편성, 급파해 원인을 철저히 조사할 계획이다.
이외에도 정부는 ▲지능형 CCTV를 통한 산불여부 판단 및 알림(안전행정부) ▲자율비행로봇을 통한 실시간 재난상황 감시(산업통상자원부) ▲공무원·산불진화대의 24시간 상황유지 시스템(지자체) 등의 산불 예방대책을 펼칠 예정이다.
저작권자 © 안전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