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규모 공사에 따른 산재 발생 최소화 방안 논의

평창 동계올림픽을 앞두고 고용노동부와 안전보건공단, 지자체가 안전의식 제고와 안전문화 확산을 위한 활동에 나섰다.
고용노동부 강릉고용노동지청(지청장 김상수)과 안전보건공단 강원동부지사(지사장 안광인)는 최근 강원도청과 함께 ‘평창 동계올림픽 기반시설 안전보건시스템 구축을 위한 간담회’를 개최했다.
평창 동계올림픽 경기장은 관련 공종이 본격적으로 진행되고 있어, 구조물 붕괴 등 대형사고에 대한 우려도 높아지고 있다. 이번 간담회는 이러한 위험을 사전에 차단하기 위해 마련된 것이다.
간담회에서는 ▲현장근로자 안전의식 고취를 위한 교육 및 캠페인 전개 ▲관내 지역 특성을 반영한 주요 공사현장 합동 안전점검 ▲현장별 안전보건 우수사례 및 개선사례 발표 등 안전보건정보 공유 ▲지역사회 안전문화 홍보 캠페인 공동추진 등을 유기적으로 추진하기 위한 방안이 논의됐다.
◇공정별 안전대책 수립
평창 동계올림픽 경기장의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한 노력은 비단 한 차례의 행사로 끝나지 않았다. 도는 지난 12일 ‘동계올림픽 경기장 건설 현안점검회의’를 개최했다.
이날 회의를 통해 도는 공사 진행상황을 점검하는 한편 공정·시기별 맞춤형 안전대책을 수립해 나가기로 했다. 특히 시공사에 공사·공종별로 자료를 요구해 사전에 위험요소를 차단키로 했다.
강원도의 한 관계자는 “인천아시안게임 경기장 건설현장에서 41명의 재해자가 발생했다”라며 “재해사례를 분석해 공정별로 유사사고가 발생하지 않도록 최선의 노력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덧붙여 이 관계자는 “동계올림픽이 성공적으로 개최되기 위해서는 재해예방이 최우선으로 고려돼야 한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안전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