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도 중앙정부의 안전분야 예산이 올해보다 5% 증액된 17조8000억원 수준이 될 것으로 전망된다.
지난 17일 기획재정부는 각 부처가 제출한 2016년도 예산·기금의 지출 총액은 390조9000억원이라고 밝혔다. 이는 올해 대비로 4.1%(15조5000억원)가 증가한 수치다. 또 이 같은 증가율은 최근 5년간 가장 낮은 것이다.
기획재정부는 ▲재정사업 원점 재검토 ▲성과평가 강화 ▲부처별 재정개혁 추진 등 재정개혁을 추진한 것이 영향을 미친것이라고 평가했다.
내년도 예산 요구액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복지·교육·문화·국방 등 8개 분야는 올해 대비 증액, 사회간접자본(SOC)·산업·농림·환경 등 4개 분야는 감액을 요구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공공질서 및 안전 분야 요구액은 재난안전통신망 등 안전시스템 구축을 중심으로 5.0% 증액된 17조8000억원으로 나타났다.
기획재정부의 한 관계자는 “각 부처의 요구안을 토대로 9월 11일까지 2016년도 정부예산안을 편성·확정해 국회에 제출할 계획”이라며 “예산이 필요한 부분에 투입될 수 있도록 재정사업을 원점에서 면밀하게 검토할 것”이라고 말했다.
지난 17일 기획재정부는 각 부처가 제출한 2016년도 예산·기금의 지출 총액은 390조9000억원이라고 밝혔다. 이는 올해 대비로 4.1%(15조5000억원)가 증가한 수치다. 또 이 같은 증가율은 최근 5년간 가장 낮은 것이다.
기획재정부는 ▲재정사업 원점 재검토 ▲성과평가 강화 ▲부처별 재정개혁 추진 등 재정개혁을 추진한 것이 영향을 미친것이라고 평가했다.
내년도 예산 요구액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복지·교육·문화·국방 등 8개 분야는 올해 대비 증액, 사회간접자본(SOC)·산업·농림·환경 등 4개 분야는 감액을 요구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공공질서 및 안전 분야 요구액은 재난안전통신망 등 안전시스템 구축을 중심으로 5.0% 증액된 17조8000억원으로 나타났다.
기획재정부의 한 관계자는 “각 부처의 요구안을 토대로 9월 11일까지 2016년도 정부예산안을 편성·확정해 국회에 제출할 계획”이라며 “예산이 필요한 부분에 투입될 수 있도록 재정사업을 원점에서 면밀하게 검토할 것”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안전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