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전보건공단 “감전재해사망자 절반 이상 7·8월에 집중”
안전보건공단이 여름철 산업현장에서 빈발하는 감전사고를 예방하기 위해 ‘산업현장 감전재해예방 3대 안전수칙’을 준수해 줄 것을 당부했다. 장마와 집중호우 등 기상변화가 심한 여름철에는 신체 노출 부분이 많아지고, 땀과 높은 습도로 인체저항도 낮아져 감전사고가 날 위험성이 높아진다. 특히 전기 기계기구의 사용이 많은 산업현장의 경우 특히 감전에 주의해야 한다.
실제로 공단에 따르면 지난해 감전재해로 인한 전체 사망자(27명) 가운데 절반 이상(15명)이 7월과 8월에 발생했다. 여름철을 제외한 기간동안 매월 1명 안팎에 사망자가 발생했다는 것에 비춰보면 심각성을 파악할 수 있다.
대표적인 사례로 지난해 8월에는 경기 남양주시의 한 작업장에서 건조기의 전원을 차단하지 않고 수리하던 근로자가 감전돼 사망했으며, 같은 달 전북 김제의 한 건설현장에서는 근로자가 훼손된 전선에 감전사고를 당하기도 했다.
공단은 이 같은 여름철 감전사고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접지’, ‘누전차단기 설치’, ‘전기기기 정비 시 전원차단’ 등 3대 안전수칙을 준수해야 한다고 밝혔다.
즉, 모든 전기기기의 철제 외함에는 접지를 실시해야 하며, 이동형 전기기기에는 누전차단기를 설치해야 한다. 또 전기기기를 수리·보수할 때에는 반드시 전원을 차단해야 하는 것이다.
안전보건공단의 한 관계자는 “사업장에서는 감전사고에 대비해 심폐소생술 등 응급조치 요령에 대한 교육을 실시하고, 인근 병원과의 비상연락 체계도 갖춰야 한다”고 조언했다.
저작권자 © 안전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