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상·재해예방대책 사업의 재원으로 활용
삼성전자 백혈병 조정위원회가 지난 23일 “삼성전자는 1000억원을 기부해 공익법인을 설립하라”고 권고했다. 김지형 삼성전자 백혈병 조정위 위원장은 이날 오후 3시 서울 서대문구 법무법인 지평 회의실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이 같은 내용을 골자로 한 조정안을 발표했다.
김 위원장은 “기부는 삼성전자가 조정사안을 사회적 의제로 해결해나가겠다는 전향적인 태도를 보이는 것은 물론이고, 세계 초일류 기업의 위상에 걸맞게 사회적 책임을 충실히 다하는 모습을 보여주겠다는 의지를 가시적인 형태로 나타내는 데 적합하다고 판단했다”고 밝혔다.
이어서는 “이러한 기부행위는 공익목적을 위한 사회공헌활동의 일환으로 평가받을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특히 김 위원장은 “삼성전자를 비롯해 반도체 산업 발전을 주도하는 사업체들의 연합단체인 한국반도체산업협회도 이러한 기부에 동참토록 권고한다”며 “기부금은 공익기금으로 조성돼 공익법인의 설립 자금과 설립 이후 공익법인의 목적사업인 보상 사업, 재해예방대책 사업의 재원으로 사용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날 발표된 조정안은 조정위가 삼성전자와 삼성직업병가족대책위원회(가족위), 반올림(반도체 노동자의 건강과 인권지킴이) 등의 협상 주체와 6개월 동안 협의해 마련한 것이다.
삼성전자는 조정안에 대해 “오늘 조정위원회가 제안한 권고안에 대해 가족의 아픔을 조속히 해결한다는 기본 취지에 입각해 신중히 검토하겠다”면서도 “그러나 권고안 내용 중에는 회사가 여러 차례에 걸쳐 받아들이기 어렵다고 밝힌 내용이 포함돼 있어 고민되는 것이 사실이다”고 밝혔다.
한편 삼성전자 직업병 보상 논의는 지난 2005년 6월 경기 용인 기흥구 삼성전자 반도체 공장에서 일하던 황유미씨가 급성 백혈병 진단을 받고, 2007년 11월 반올림이 발족되면서 시작됐다.
지난해 5월 권오현 삼성전자 부회장이 공식적으로 ‘합당한 보상’을 약속하면서 협의가 급물살을 탔으며 지난해 12월 객관성과 합리성을 갖춘 보상안의 신속한 도출을 위해 조정위가 구성됐다.
저작권자 © 안전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