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시와 경기도의 안전수준이 매우 높은 것으로 드러났다. 반면에 세종특별자치시와 전라남도의 안전수준은 취약했다.
국민안전처는 전국 17개 시·도와 227개 시·군·구의 지역안전지수를 지난달 29일 발표했다. 지방자치단체의 분야별 안전지수가 공개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안전지수란 말 그대로 지자체의 안전수준을 분야별로 계량화한 수치다. 구체적으로는 화재·교통사고·자연재해·범죄·안전사고·자살·감염병 등 7개 분야 38개 지표로 구성돼 있다.
지표 가운데 가장 중요하고 비중이 높은 것은 인구 1만명당 사망자수다. 이는 우리나라의 안전사고 사망률이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평균인 6.6%의 두배에 달하고, 교통사고 사망률이 1위를 기록한 현실을 감안한 것이다.
이번에 국민안전처는 지난 2013년 ‘화재’와 ‘교통사고’ 분야 통계를 대상으로 산출한 안전지수만 공개했다.
이에 따르면 광역단체별로는 서울시와 경기도가 화재와 교통사고 분야 모두에서 ‘1등급’을 받았다. 이에 반해 세종시와 전남의 경우 화재와 교통사고 분야 모두 최하위인 ‘5등급’을 받았다.
등급이 낮을수록 분야별 인구 1만명당 사망자 또는 사고 발생 건수가 타 지역에 비해 많다는 것을 뜻한다. 안전 수준이 그만큼 취약하다는 얘기다.
정부는 지자체 의견을 수렴·보완해 오는 10월께 2014년 화재·교통사고·자연재해·범죄·안전사고·자살·감염병 등 7개 분야 통계를 산출한 안전지수를 공개하기로 했다. 또 안전지수 외에 200여 종의 안전통계가 입력된 지역안전진단시스템도 지자체에 제공한다는 방침이다.
이를 통해 지자체의 안전 개선 노력과 책임성이 한층 강화될 것으로 정부는 기대하고 있다.
또 안전처는 중·하위 등급 지자체 중 4개소를 선정해 안전 위협·위험요인에 대한 정밀진단·분석을 실시하기로 했다.
이를 통해 대응역량을 강화할 수 있도록 컨설팅을 지원할 계획이다. 이외에도 소방안전교부세와 재난안전 특별교부세 등 예산을 투입해 지역의 안전도가 높아질 수 있도록 지원키로 했다.
정종제 국민안전처 안전정책실장은 “지역의 안전수준에 대한 객관적 정보를 알 수 있는 지역안전지수 도입을 계기로 지자체의 안전에 대한 노력과 책임성이 한층 강화될 것으로 기대된다”라며 “정부에서도 재정지원, 컨설팅 제공 등 지역안전 수준을 높이는데 적극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지역안전지수는 국민안전처(www.mpss.go.kr)와 생활안전지도(www.safemap.go.kr)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