앞으로 지하철 열차무선시스템에 이상이 발생해도 직원들이 신속하게 상황을 전할 수 있게 된다.
서울 지하철 5~8호선을 운영하는 서울도시철도공사는 현재 도입 중인 열차무선시스템과는 별도로 스마트폰으로 사용할 수 있는 무전통화시스템을 17일부터 업무에 적용했다고 밝혔다.
이는 지난해 상왕십리역 열차 추돌사고 이후 수립된 서울시의 ‘지하철 운영시스템 10대 안전 개선과제’ 중 하나다. 국내 지하철 운영기관 중에서 무전통화시스템을 도입한 곳은 서울도시철도공사가 처음이다.
무전통화시스템은 스마트폰에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한 후 롱텀에볼루션(LTE) 데이터를 활용해 등록된 사용자끼리 통신하는 방식이다.
이 앱을 사용하려면 인증이 필요하기 때문에 정보 유출의 위험이 적다. 또 대부분의 직원들이 항상 스마트폰을 지니고 있어 시간과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언제든지 상황 전파가 가능하다는 게 공사 측의 설명이다.
특히 공사는 무전통화시스템이 좀 더 빠르고 편리하게 무전을 주고 받기 위해 만들어진 만큼 다양한 상황에서 유용하게 쓸 수 있는 기능을 탑재했다고 설명했다.
일대일 또는 일대 다수 사이의 무전통화가 가능토록 설계했고, 긴급상황 발생에 대비해 종합관제센터에서의 비상호출, 우선통화 기능을 구축했다. 또 5~8호선 내의 기관사, 역 직원, 지하철 보안관 등 다양한 직군의 직원들이 필요에 따라 채널 구성원을 선정해 무전을 주고받을 수 있도록 했다.
김태호 서울도시철도공사 사장은 “시민이 항상 안심하고 지하철을 이용할 수 있도록 2중, 3중의 안전망 구축을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서울 지하철 5~8호선을 운영하는 서울도시철도공사는 현재 도입 중인 열차무선시스템과는 별도로 스마트폰으로 사용할 수 있는 무전통화시스템을 17일부터 업무에 적용했다고 밝혔다.
이는 지난해 상왕십리역 열차 추돌사고 이후 수립된 서울시의 ‘지하철 운영시스템 10대 안전 개선과제’ 중 하나다. 국내 지하철 운영기관 중에서 무전통화시스템을 도입한 곳은 서울도시철도공사가 처음이다.
무전통화시스템은 스마트폰에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한 후 롱텀에볼루션(LTE) 데이터를 활용해 등록된 사용자끼리 통신하는 방식이다.
이 앱을 사용하려면 인증이 필요하기 때문에 정보 유출의 위험이 적다. 또 대부분의 직원들이 항상 스마트폰을 지니고 있어 시간과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언제든지 상황 전파가 가능하다는 게 공사 측의 설명이다.
특히 공사는 무전통화시스템이 좀 더 빠르고 편리하게 무전을 주고 받기 위해 만들어진 만큼 다양한 상황에서 유용하게 쓸 수 있는 기능을 탑재했다고 설명했다.
일대일 또는 일대 다수 사이의 무전통화가 가능토록 설계했고, 긴급상황 발생에 대비해 종합관제센터에서의 비상호출, 우선통화 기능을 구축했다. 또 5~8호선 내의 기관사, 역 직원, 지하철 보안관 등 다양한 직군의 직원들이 필요에 따라 채널 구성원을 선정해 무전을 주고받을 수 있도록 했다.
김태호 서울도시철도공사 사장은 “시민이 항상 안심하고 지하철을 이용할 수 있도록 2중, 3중의 안전망 구축을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안전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