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 톈진항 폭발사고 계기…유사재해 예방 목적

정부가 지난 12일 발생한 중국 톈진(天津)항 폭발사고를 계기로 국내 유사시설에 대한 대대적인 안전점검에 나선다.
국민안전처는 지난 20일 환경부, 고용노동부, 산업통상자원부, 해양수산부, 경찰청 등과 함께 톈진항 폭발사고가 우리나라에 미치는 영향 등을 살펴보고, 국내 유해화학물질 안전관리 실태에 대한 관계부처 간 의견을 교류했다.
이날 회의에서 환경부는 텐진항 폭발사고가 국내에 미치는 영향은 없다고 발표했고, 경찰청은 불필요한 불안감을 증폭시킬 수 있는 각종 유언비어에 대해서 엄중 대응한다는 방침을 밝혔다.
또 안전처는 톈진항 폭발사고와 같은 유사재해가 국내에서 발생 시 주요 산업단지에 설치된 ‘화학재난합동방재센터’가 제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지를 중점 점검하는 한편 시흥, 익산, 여수, 울산 등 4개 권역의 국가산단을 대상으로 유관기관 합동 안전문화 캠페인을 전개하기로 했다.
아울러 안전처는 유해화학물질 저장소가 있는 11개 항만과 대규모 유해화학물질 취급사업장을 대상으로 현재 실시하고 있는 정부합동 안전점검의 결과가 나오는 대로 현장 시정조치와 시설·장비보완 등에 신속히 나설 계획이다.
이외에도 안전처는 지난해 3월 정부합동으로 발표한 ‘화학물질 안전관리종합대책 세부추진계획’에 대한 부처 이행실태를 점검해 관계법령 개정 등 후속조치 추진에 만전을 기하기로 했다.
한편 지난 12일 중국 톈진시 탕구항 내 위치한 루이하이사의 위험물 물류창고에서 대형 폭발사고가 발생했다. 이 사고로 지난 25일 기준 129명이 숨지고 700여명이 중경상을 입었다. 특히 사고시 시안화나트륨 등 대량의 유해화학물질이 누출돼 추가 피해도 우려되고 있는 상황이다.
저작권자 © 안전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