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바람 안전활동’이 글로벌 경쟁력 강화의 원동력
‘신바람 안전활동’이 글로벌 경쟁력 강화의 원동력
  • 김보현
  • 승인 2015.08.26
  • 호수 311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KMW 천안공장

 


메이저리그 대표 구단인 뉴욕 양키스 홈구장 조명을 자사 LED제품으로 교체한 공로를 인정받아 시구 행사에 초청 받은 기업. 지속적인 연구 개발로 국내 RF업체 중 최다 특허를 보유한 기업. CCTV, LED조명, 다자간 무선통신, 충격알림기능 등을 접목한 ‘ICT융복합 안전모’로 국내 최초 ICT 융합 품질 인증을 획득한 기업. 이들 모두 무선통신부품과 LED조명기구를 생산하는 ㈜KMW를 수식하는 말이다. 이곳은 우수한 기술력을 기반으로 국내를 넘어 세계 시장에서 맹활약하고 있다. 이 글로벌 경쟁을 가능케 한 원동력으로 ㈜KMW는 철저한 안전관리를 꼽는다. 근로자의 안전이 기업 성장의 필수조건이라는 ‘안전경영’ 마인드를 바탕으로 OHSAS 18001 시스템을 도입·운영하고 있는 것은 물론 다양한 안전보건활동을 적극 전개하고 있다. 이런 공로를 인정받아 지난해 근로자건강증진활동 우수사업장으로 선정되기도 하였다. 근로자 모두의 자율적인 참여를 통해 즐겁고 행복한 안전문화를 정착시켜 나가고 있다는 ‘KMW 천안공장’을 찾아가 봤다.


◇전사적 차원의 안전관리 전개

KMW 천안공장은 OHSAS 18001 인증 획득에서 나타나듯, 기업 경영에서 안전을 매우 중시한다. 사업장의 안전관리를 이끌고 있는 주단식 공장장이 직원들의 믿음과 신뢰를 얻는 가장 확실한 방법은 ‘안전한 일터 구현’과 ‘근로자의 건강’이라고 단호히 말할 정도다.

이런 경영진의 확고한 안전 마인드에 따라 이곳 현장에서는 안전관리 강화를 위한 커뮤니케이션 활동이 지속 전개되고 있다. 그리고 이를 위해 적극 활용하는 것이 바로 ‘사내 방송방’이다.

이곳 천안공장의 경우, 제품의 설계·제작·검사·출하까지 다양한 공정이 이뤄지는데, 각 공정 특성상 중량물에 의한 협착사고나 단순 반복·조립작업에 따른 근골격계질환의 위험이 항시 상존한다. 이외에도 장비 운용에 따른 충돌, 화상 등의 각종 재해 위험도 잠재돼 있다.

이곳은 이런 여러 재해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작업 전 준비상태’와 ‘작업 후 마무리’가 완벽히 이루어져야한다고 보고, 사내 방송을 활용해 전사적으로 스트레칭 체조를 동시에 실시하고 있다. 체조를 통해 근골격계질환 예방에 상당한 효과를 본 것은 물론 스트레칭 중 작업자간 몸 상태 크로스 체크 및 친밀감 형성 등의 부수효과도 거두고 있다.


◇주요 위험요인에 2중3중 관리로 대응

이곳 안전관리의 특징 중 하나로는 사업장 특성상 사고의 위험이 높은 요소에는 2중, 3중에 걸쳐 철저한 안전관리를 한다는 것이다. 이를 가장 잘 보여주는 것이 ‘지게차 안전관리’다.

제품의 제작부터 납품까지 이뤄지는 이곳 특성상, 지게차를 이용한 중량물 운반작업이 상당히 많다. 이는 곧 보행자 및 지게차간 충돌사고, 물품 상하역시 낙하사고 등의 위험이 높음을 의미한다.

이에 이곳 사업장은 기본적으로 지게차 안전작업지침을 제정해 근무 전 체크항목에 따라 안전점검을 실시하고 있다. 또 보행로와 차량의 이동통로를 구분해 운영하고 있고, 작업지휘자를 배치해 지게차의 안전한 운행과 작업을 감독하고 있다.

또 LED제품의 조립·검사공정을 하는 근로자들의 경우 모듈 납땜 등의 작업을 함에 따라 화상 및 호흡기 질환의 위험이 높은데다, 품질 검사 시에는 고온 챔버를 사용하기 때문에 화재의 위험에도 노출되어 있다.
따라서 이곳 사업장에서는 근로자 스스로 철저하게 대비된 상태에서만 작업에 임할 수 있도록 공정·단계별 안전관리 매뉴얼을 배포·교육하고 있다. 이와 함께 고온챔버에서의 제품 검사 시 과열로 인한 화재 예방을 위해 사고가 발생하면 모든 공정이 중단되는 시스템도 운영 중이다.


◇건강한 근로자, 건실한 기업

KMW 천안공장은 근로자의 건강보호와 증진에도 심혈을 기울이고 있다. “안전시설만으로 예방할 수 있는 재해는 한계가 있으며, 언제 어느 때 발생할지 모르는 휴먼에러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근로자들이 항시 최상의 컨디션으로 작업에 임할 수 있도록 적극적인 건강관리를 실시해야 한다”라는 주단식 공장장의 말에서 이곳이 직원들의 건강관리에 쏟는 노력의 정도를 쉽게 짐작할 수 있다.

몇 가지 사례를 살펴보면, 금연·비만 클리닉의 경우 모집자 운영부터 포상에 이르기까지 매우 효과적으로 운영되고 있다. 매달 클리닉 참가자들을 모집한 다음 몸 상태에 따라 개별적인 목표를 설정해 준 후 체계적인 관리에 나선다. 이후 목표 달성자들에 대해서는 포상을 함으로써 여타 근로자의 능동적인 참여를 유도한다.

전담 교사를 배치해 운영 중인 심폐소생술 교육도 건강관리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 정기적인 교육을 통해 근로자들 모두가 동료 작업자의 비상상황에 대응할 수 있는 역량을 갖추고 있으며, 평소 적극적인 건강관리에 나서야 한다는 동기부여도 되고 있다.

이처럼 ‘안전보건’을 회사의 성장과 발전을 위한 핵심 원동력으로 삼고 최선의 노력을 다하고 있는 점을 볼 때, KMW의 세계시장을 향한 도전은 필히 성공적인 결실을 맺을 수 있을 것이라 확신한다.

  • 서울특별시 구로구 공원로 70 (대한산업안전협회 회관) 대한산업안전협회 빌딩
  • 대표전화 : 070-4922-2940
  • 전자팩스 : 0507-351-7052
  • 명칭 : 안전저널
  • 제호 : 안전저널
  • 등록번호 : 서울다08217(주간)
  • 등록일 : 2009-03-10
  • 발행일 : 2009-05-06
  • 발행인 : 박종선
  • 편집인 : 박종선
  • 청소년보호책임자 : 김보현
  • 안전저널의 모든 콘텐츠(영상, 기사, 사진)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본지는 한국간행물윤리위원회 윤리강령 및 실천요강을 준수합니다.
  • Copyright © 2025 안전저널. All rights reserved. mail to bhkim@safety.or.kr
ISSN 2636-0497
ND소프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