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츠하이머성 치매 발병 가능성 높아
오랜 흡연이 뇌의 신경퇴행을 가속시켜 치매를 발병시킬 수 있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삼성서울병원 서상원·신희영·강미라 교수팀, 연세대 김창수·조한나 교수팀은 최근 유럽신경과학회지에 공동으로 발표한 연구 논문에서 이같이 밝혔다.
연구팀은 2008년 9월부터 2012년 12월 사이 삼성서울병원 건강의학본부에서 건강검진을 받은 성인 남성 977명을 대상으로 자기공명영상(MRI)을 촬영한 뒤 이를 3차원 영상으로 구현해 뇌 전반을 살펴봤다.
대상자들의 평균 나이는 64.9세로 치매검사에서 특이사항은 발견되지 않았으며, 인지기능도 정상인 상태였다. 연구팀은 흡연 기간에 따라 이들을 비흡연자(70명), 금연자(539명), 흡연자(116명)로 나눠 대뇌피질 두께를 비교했다.
대뇌피질 두께를 살펴 본 이유는 약 860억개의 신경세포로 이뤄진 사람의 뇌 중 4분의 1이 대뇌피질에 있기 때문이다. 대뇌피질은 방대한 감각 정보에 대한 처리는 물론 의식적 사고와 인지, 문제 해결 등을 담당한다. 따라서 이 부분의 기능이 저하되면 알츠하이머성 치매가 발병할 수 있다.
분석 결과, 흡연자 그룹의 대뇌 피질 두께는 비흡연자 그룹보다 평균 0.035mm 줄어든 것으로 밝혀졌다. 특히 이 같은 두께 차이는 흡연 기간이 길수록 더 커졌으며 같은 흡연자라도 금연을 한 경우에는 차이가 줄어드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팀의 한 관계자는 “흡연 여부가 치매 발병의 주된 요소로 확인됐다”라며 “하루라도 빨리 금연하면 치매 예방에 도움이 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저작권자 © 안전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